올해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양극화로 인해 취약계층의 대출 부실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국금융연구원은 지난달 정기 간행물 '금융브리프'를 통해 이 같이 진단했다.
박성욱 선임연구위원은 "겨울철을 맞아 감염병이 재확산하고 있어 코로나19 경제 충격이 장기화하고 있다"며 "이에 따라 당분간 경제 양극화가 심화하며 취약계층의 대출 부실 위험이 커질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박 연구위원은 "장기적인 부채 상환 능력을 유지한 취약차주에게는 자금을 지속해서 공급함으로써 신용 경색 발생 가능성을 낮추는 한편 부채 상환 가능성이 희박해진 취약계층은 원활한 채무 구조조정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영도 선임연구위원은 '금융 출구 전략'을 두고 "지난해 시행한 각종 정책은 금융시장을 안정시키는 데 일조했으나 금융 시스템 내 각종 잠재 위험도 증폭시켰다"며 "올해 백신 보급으로 코로나19 종식이 가시화하면서 출구 전략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 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그러면서 "출구 전략은 경기를 위축시킬 수 있으므로 시기와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계층별·업종별로 성장 또는 회복의 속도가 상당히 다를 것이므로 미시적 관점의 출구 전략이 바람직하다"고 제언했다.
금융연구원은 가계부채에 따른 위험 확산 가능성이 당장은 낮을 것으로 봤다. 하지만 위험 요인들이 한꺼번에 발현되면 금융시스템 리스크로 커질 수 있으므로 대응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송민규 선임연구위원은 "코로나19 사태에도 가계부채 상환 능력에 대한 평가 역량을 유지되도록 관리·감독해야 한다"며 "주택시장의 조정 가능성에 대비해 연체자의 주거 안정 프로그램도 미리 준비하고, 자영업자 등을 대상으로 '프리워크아웃'(사전 채무조정)도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 규모가 연간 기준으로 처음 100조원을 넘어섰다. 올해 들어서도 가계부채는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달 21일 기준으로 신한·KB국민·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전체 신용대출 잔액은 134조9583억원이다. 지난달 말과 비교해 1조3101억원 늘어난 수치다.
지난달 21일까지 5대 은행에서 발급된 마이너스통장 또한 총 3만1305건이다. 잔액 기준으로는 47조2076억원으로 지난달 말에 비해 6766억원 증가했다.
증시 활황으로 '빚투(빚내서 투자)' 수요가 몰린 데다,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규제가 추가로 나오기 전에 미리 한도대출을 받아두려는 수요가 더해지면서 마통 신규 개설이 급증한 것으로 풀이된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국금융연구원은 지난달 정기 간행물 '금융브리프'를 통해 이 같이 진단했다.
박성욱 선임연구위원은 "겨울철을 맞아 감염병이 재확산하고 있어 코로나19 경제 충격이 장기화하고 있다"며 "이에 따라 당분간 경제 양극화가 심화하며 취약계층의 대출 부실 위험이 커질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박 연구위원은 "장기적인 부채 상환 능력을 유지한 취약차주에게는 자금을 지속해서 공급함으로써 신용 경색 발생 가능성을 낮추는 한편 부채 상환 가능성이 희박해진 취약계층은 원활한 채무 구조조정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출구 전략은 경기를 위축시킬 수 있으므로 시기와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계층별·업종별로 성장 또는 회복의 속도가 상당히 다를 것이므로 미시적 관점의 출구 전략이 바람직하다"고 제언했다.
금융연구원은 가계부채에 따른 위험 확산 가능성이 당장은 낮을 것으로 봤다. 하지만 위험 요인들이 한꺼번에 발현되면 금융시스템 리스크로 커질 수 있으므로 대응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송민규 선임연구위원은 "코로나19 사태에도 가계부채 상환 능력에 대한 평가 역량을 유지되도록 관리·감독해야 한다"며 "주택시장의 조정 가능성에 대비해 연체자의 주거 안정 프로그램도 미리 준비하고, 자영업자 등을 대상으로 '프리워크아웃'(사전 채무조정)도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해 은행의 가계대출 증가 규모가 연간 기준으로 처음 100조원을 넘어섰다. 올해 들어서도 가계부채는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달 21일 기준으로 신한·KB국민·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전체 신용대출 잔액은 134조9583억원이다. 지난달 말과 비교해 1조3101억원 늘어난 수치다.
지난달 21일까지 5대 은행에서 발급된 마이너스통장 또한 총 3만1305건이다. 잔액 기준으로는 47조2076억원으로 지난달 말에 비해 6766억원 증가했다.
증시 활황으로 '빚투(빚내서 투자)' 수요가 몰린 데다,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규제가 추가로 나오기 전에 미리 한도대출을 받아두려는 수요가 더해지면서 마통 신규 개설이 급증한 것으로 풀이된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2/03/20210203073113665732.jpg)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