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2/16/20210216135117182298.jpg)
정세균 국무총리가 16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정 총리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정부의 노력을 설명하면서 백신 도입 현황을 발표했다. 백신은 기존 5600만명분에 2300명분을 더해 7900만명분을 확보한 상태다.
정 총리는 "당초 하반기에 1000만명분을 공급받기로 계약한 화이자 백신 가운데 일정 물량을 앞당겼다"며 "화이자 백신 50만 명분을 3월 말에 앞당겨 공급받고, 추가로 300만 명분의 백신을 2분기에 도입하는 계약 체결을 완료했다"고 말했다. 즉 2분기에 총 350만 명분의 화이자 백신 접종이 가능해진 셈이다.
노바백스 백신도 2000만명분 도입을 확정했다. 정 총리는 노바백스 백신의 접종도 2분기부터 시작될 것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질병관리청장이 SK바이오사이언스와 구매계약 체결도 앞두고 있다고 덧붙였다.
백신 접종은 이달 말부터 가능할 전망이다. 정 총리는 국민께 접종계획에 따라 적극적으로 참여해 달라고 당부하면서도, ‘자율과 책임’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방역기준에 동참을 촉구했다. 이번 위기를 이겨내야만 3월부터 새로운 거리두기 체계의 개편이 가능하다는 게 정 총리의 주장이다.
그러면서 정 총리는 설 연휴의 여파와 영국발 변이바이러스의 전파 가능성에 관해서도 끝까지 긴장감을 놓지 않기를 국민께 호소했다. 방역에 관해서도 자율보다는 책임감에 더 무게를 둘 것을 주문했다.
코로나 백신 접종이 임박하면서, 일각에서는 코로나 리더쉽을 통해 정 총리의 이후 행보를 연결 짓는 이야기도 나온다. 다만 정 총리는 현재까지 구체적인 향후 거취를 밝히지 않고 있다. 앞서 대정부질문에서도 비슷한 질문에 정 총리는 코로나와의 전쟁이 우선이라고 답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