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들은 일제히 청와대와 문재인 대통령, 박범계 장관을 향해 포문을 열었다.

[사진= 장용진 논설위원]
(도대체 누가 어쨌다는 소리만 들리면 패씽이래)

[사진- 장용진 논설위원]

[사진=장용진 논설위원]
신현수 민정수석은 국정원 기조실장으로 문재인 정부의 국정원 개혁의 선봉에 섰다. 국정원 개혁에 있어서 신현수 수석만한 공로를 세운 인물은 없다는 게 대체적 평가다.
하지만 신 민정수석이 청와대로 오자 여권 주변에서는 우려가 나왔다. 그가 전형적인 '검찰주의자'인데다 윤석열 검찰총장, 한동훈 검사장과 매우 가까운 사이로 알려져 있었기 때문이다.

[사진=장용진 논설위원]

[사진=장용진]
윤석열 검찰총장은 청와대 소속인 신 수석을 그다지 신뢰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인간적으로 친하지만 그의 중재를 따를 생각은 없었던 셈. 다만, 박 장관의 첫 검찰인사에서 자신의 요구가 어느 정도 받아들여지는지를 보고 태도를 정하려 했던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실제로 검찰인사를 앞두고 박 장관과 만난 윤 총장은 '자기사람'들을 구제해 줄 것을 강력히 요구한 것으로 전해진다. 신 수석에게도 같은 뜻을 전했다. 무엇보다 한동훈 연구위원의 복귀를 관철시키려 했다는 게 관계자들의 공통된 전언이다.

[사진=장용진 ]
그러자 윤 총장은 '원전 수사'와 관련해 백운규 前산업자원부 장관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한다. 누가 보더라도 '더이상 타협은 없다'는 것을 공표한 것으로 보였다.
한참 청와대를 설득하고 있던 신 민정수석으로서는 난감한 상황이었다. 더 이상 역할을 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한 것은 물론이고 이전보다 상황이 악화되버렸기 때문이다. 대통령의 심기를 불편하게 해가면서까지 중재역을 자임했지만 성과는 커녕 망신을 당한 셈이었다.
믿었던 친구 윤석열 총장에게서 사실상 '뒷통수'를 맞은 신 수석이 선택할 수 있는 길은 하나 밖에 없었다.

[사진=장용진]
하지만 이는 최소한의 정부 시스템도 모르고 하는 소리라는 게 정부관계자들의 공통된 지적이다.

[사진=장용진]

[사진=장용진]
그나마 그 '부적절한 중재'는 실패했다. 책임을 지는 것이 당연하다.

[사진=장용진]
한편, 대검찰청에서는 '원전수사'와 '김학의 출국금지' 등 문재인 정권을 향한 수사를 계속 재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상황은 그리 녹록치 않아 보인다. 일선 수사검사들 사이에서 무리한 수사를 피해 빠져나가려는 움직임이 노골적으로 감지된다. 실제로 원전수사팀에서는 최근 2명의 검사가 유학 등을 이유로 수사에서 빠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진= 장용진]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