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3/23/20210323150040279315.jpg)
[사진=삼척시 제공]
이번 공모사업에 총 10개 시‧군이 참여해 19개 신청마을 중 8개 마을이 선정된 가운데, 삼척 산양정보화마을이 ‘병풍바위 야영장 활성화 사업’으로 선정돼 총사업비 2500만 원의 보조금을 지원받게 됐다.
산양마을은 마을 공동체에서 기 운영 중인 야영장의 활성화를 위해 지난해 네이버 스마트 예약을 도입해 자립화의 기틀을 마련했으며 성수기 기간 운영 중 발생한 애로사항과 캠핑객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 시설 개선을 목적으로 공모사업에 응모해 선정됐다.
2005년 정보화마을로 지정된 원덕 산양정보화마을은 100여m나 되는 하나의 바위로 된 용암산과 지방문화제 123호인 산양서원이 있는 마을로 넓은 농경지를 바탕으로 여러 가지 농산물이 풍부한 마을이다. 산양(山陽)마을은 산 양과는 관계없다.
시 관계자는 “공모사업을 통해 산양마을 주민 공동체가 활성화되고 소득증대를 통한, 정보화마을 자립화 기틀이 마련될 것이다”며 “더불어 확충된 시설을 통해 편리한 캠핑이 가능해 마을이 더욱 활성화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 삼척시는 전국적으로 대형 산불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시기인 봄철을 맞아 지난 18일부터 다음달 18일까지 대형 산불방지 특별대책기간으로 설정해 산불예방활동에 총력을 기울인다.
봄철은 건조한 날씨가 지속되면서 논·밭두렁과 농산폐기물, 쓰레기 소각행위, 청명·한식의 성묘객, 식목일 행사, 산나물 채취자, 등산객 등으로 산불발생 위험이 높은 계절이다.
이에 시는 기상상황과 산불위험예보에 따라 산불방지대책본부 상황실을 탄력적으로 운영하면서 24시간 비상연락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건조특보와 강풍특보 동시 발령 시 부시장 주재로 대응태세 강화를 위한 상황판단회의를 가지고 산불취약구역 120개소에 본청 공무원 370명을 투입할 계획이다. 감시원(282명) 근무시간을 조정하고 진화대원(101명)을 관할구역 취약지구에 배치해 순찰할 예정이다.
아울러, △산불 감시장비(CCTV 19개소 47대)를 활용한 입체적인 산불감시망 구축 △입산통제 및 등산로 폐쇄지역 관리 강화로 입산자 실화 차단 △산림인접 관습적 소각행위 근절로 산불방생원인 사전차단 △시민공감 및 참여확산을 위한 다양한 홍보 및 점검활동 전개 등 대형산불 방지 대응태세 강화 방안을 마련했다.
산불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2021년 ‘삼척시 산불대응센터’를 신축해서 산불상황 발생 시 진화대원들의 신속 출동 가능한 초동 진화 체계를 구축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