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업계와 외신 등에 따르면 조지아주 상원은 지난 23일(현지시간) SKI가 미국 현지 공장을 폐쇄하지 않고 합의를 위해 협상할 것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켰다.
이는 앞서 바이든 대통령이 ITC 판결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해 달라고 촉구한 결의안에서 수정된 내용이다. 수정 결의안은 하원 통과 절차를 거쳐 최종적으로 채택된다.
미국 내 경쟁력 확보와 더불어 일자리 감소에 대한 우려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공화당 소속 버치 밀러 조지아주 상원의원은 "SK이노베이션 공장의 손실은 조지아의 공공과 민간 투자에 수십억 달러의 비용을 들이고 수백 명의 사람을 실직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양사는 ITC 판결에 따른 합의금을 두고 여전히 입장차가 큰 상황이다. SKI는 LGES가 요구한 2조원대 합의금을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면서, 바이든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할 것에 기대를 걸고 있다. 반면 LGES는 그동안 “SKI가 진정성을 갖고 합의에 임해야 한다”고 강조해왔다.
업계에서는 조지아주 상원의 결의가 법적 구속력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양사 배터리 소송을 바라보는 미국 내 여론 형성에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SKI 관계자는 “조지아주 상원의 이번 판단은 유불리를 따지기보다는 하루속히 이번 사태가 해결되길 바란다는 의미로 보는 게 바람직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SKI는 대통령 거부권을 이끌어내기 위해 샐리 예이츠 전 미국 법무부 차관을 미국 사업 고문으로 영입했다. 외신 등에 따르면 예이츠 전 차관은 미국 현지 매체 인터뷰를 통해 “바이든 대통령은 조지아주 북동부 전기차 배터리 공장을 무력화시키는 ITC 판결을 거부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3/24/20210324153708298550.jpg)
SK이노베이션이 미국 조지아주에 건설 중인 배터리공장. [사진=SK이노베이션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