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5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대응을 위한 1차 전국민 긴급재난지원금을 현금으로 받은 가구의 대부분이 지원금을 소비 지출에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이영욱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한국노동경제학회에 실은 '긴급재난지원금 현금수급가구의 소비 효과' 논문에서 현금을 지원받은 가구의 94%가 이를 소비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해 1차 재난지원금을 지급할 때 신청을 받아 신용카드, 체크카드, 지역사랑상품권, 선불카드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했으나 취약계층에 대해서는 별도 신청 없이 현금으로 받을 수 있도록 했다. 현금 수급 가구는 총 287만 가구로 전체 가구 대비 12.9%에 해당했다.
이 연구위원은 지난해 9월 현금수급가구를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사용 내역을 조사했다.
지원금의 사용 용도를 분석한 결과 현금수급가구의 93.7%가 주로 소비 지출에 사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저축은 3.8%, 빚 상환은 1.8%였다.
지원금으로 사용한 금액이 총소비지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품목별로 살펴보면 식료품, 가정생활용품 구매 등 필수재에 대한 소비가 70.3%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보건의료비 지출에 15.7%가 사용됐고, 외식에 6.9%가 사용됐다. 의류·서적 등에는 4%, 가전제품·가구 등 내구재에는 1.7%, 서비스 이용에는 1.5%가 각각 쓰였다.
사용 시기에 대해서는 5월에 대부분 사용했다는 응답이 47.1%로 가장 많았다. 6월은 33.7%, 7월은 12.0%, 8월은 4.2%로 5월 초 지원금이 현금으로 지급된 이후 비교적 짧은 기간 내 대부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긴급재난지원금의 소비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현금수급가구에 대한 한계소비성향을 분석할 결과, 평균적으로 사용된 긴급재난지원금의 21.7%가 본래 계획되지 않은 추가 소비로 이어졌다.
이런 한계소비성향은 코로나19 위기로 인해 실직·휴직·구직의 어려움과 같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을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높게 관찰됐다.
이 연구위원은 "코로나19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은 가구에서 한계소비성향이 높게 관찰돼 긴급재난지원금이 직접적인 피해를 입은 가구의 소비 지출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도움을 줬음을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