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한국씨티은행지부가 2일 소비자금융 부문의 부분 매각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씨티은행 노조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소비자금융 전체 매각에 대한 안정적인 인수 의향자가 나올 때까지 수년 이상 충분한 시간과 대책을 가지고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조 측은 "씨티은행은 연 2000억~3000억원 규모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하고 있는 흑자기업이자 정상적인 영업을 영위하고 있는 금융기관"이라며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비상 상황으로 인수 가능 후보군의 대규모 투자 전략 및 계획 수립 자체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노조는 "씨티그룹의 성급한 전략에 맞춰 전체 매각이 아닌 부분 매각 또는 자산 매각 방식으로 진행된다면 씨티은행과 거래하는 200만명이 넘는 고객의 불편과 피해 발생 뿐만 아니라 2000명 이상 직원들의 대규모 실업사태가 우려된다"며 "이번 사태는 일개 금융기관의 문제가 아닌 '대한민국 국민주권'의 입장에서 바라봐야 한다"고 했다.
씨티은행 노조는 2008년부터 씨티그룹이 총 21개국에서 진행한 해외 매각 사례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도 주장했다. 2016년 콜롬비아의 경우 매각에 실패하자 철수 계획을 전면 철회하고 경영 환경이 개선된 2년 뒤 재진행해 매각에 성공했다. 2015년 일본에서는 미쓰이스미토모금융그룹에 영업점 폐쇄와 인력 구조조정 없이 전체 매각된 바 있다. 이 같은 사례와 같이 '최적의 시기'에 전체 매각으로 진행하는 것이 고객과 노사 모두에게 최선의 선택이라는 게 노조 측의 주장이다.
이날 노조는 청와대와 금융위원회, 국회 앞에서 각각 1인 시위를 동시에 전개했다. 오는 21일에는 조합원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진창근 씨티은행지부 위원장은 "직원의 고용승계 및 근로조건 유지를 담보한 전체 매각에 있어서는 협력하겠지만, 만약 고객 피해와 대량 실업 사태를 초래할 부분 매각 또는 자산 매각 방식으로 사측이 진행한다면 노조의 모든 역량을 집중시켜 대대적인 전면전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씨티은행 노조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소비자금융 전체 매각에 대한 안정적인 인수 의향자가 나올 때까지 수년 이상 충분한 시간과 대책을 가지고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조 측은 "씨티은행은 연 2000억~3000억원 규모의 당기순이익을 기록하고 있는 흑자기업이자 정상적인 영업을 영위하고 있는 금융기관"이라며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비상 상황으로 인수 가능 후보군의 대규모 투자 전략 및 계획 수립 자체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노조는 "씨티그룹의 성급한 전략에 맞춰 전체 매각이 아닌 부분 매각 또는 자산 매각 방식으로 진행된다면 씨티은행과 거래하는 200만명이 넘는 고객의 불편과 피해 발생 뿐만 아니라 2000명 이상 직원들의 대규모 실업사태가 우려된다"며 "이번 사태는 일개 금융기관의 문제가 아닌 '대한민국 국민주권'의 입장에서 바라봐야 한다"고 했다.
이날 노조는 청와대와 금융위원회, 국회 앞에서 각각 1인 시위를 동시에 전개했다. 오는 21일에는 조합원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진창근 씨티은행지부 위원장은 "직원의 고용승계 및 근로조건 유지를 담보한 전체 매각에 있어서는 협력하겠지만, 만약 고객 피해와 대량 실업 사태를 초래할 부분 매각 또는 자산 매각 방식으로 사측이 진행한다면 노조의 모든 역량을 집중시켜 대대적인 전면전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6/02/20210602160146526419.jpg)
[사진=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한국씨티은행지부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