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반 넘게 이어지고 있는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국내 수출기업 상당수가 해외 진출 전략을 수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진출지역 다변화 등 해외사업 전반에 걸쳐 새로운 준비를 하고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수출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코로나 이후 기업의 해외 진출 동향과 대응과제’ 조사결과, 수출기업의 58.3%가 ‘코로나 이후를 대비해 해외 진출전략에 다변화를 모색하고 있다’고 답했다고 18일 밝혔다.
먼저 고려하고 있는 진출전략을 묻는 질문에는 △지역 다변화(54.9%) △관리방식 비대면화(42.9%) △마케팅방식 다변화(32.6%) △품목 다변화(29.1%)의 순으로 응답했다.
코로나19 대유행 상황으로 인해 기존의 전략만으로는 글로벌 경쟁 대응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분석된다.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진출지역을 묻는 질문에는 △미주(34.7%) △동남아시아(28.6%) △유럽(17.7%) △중국(10.2%) 순으로 응답이 많았다. 이는 그동안 아시아 지역에 집중됐던 해외 진출전략이 미국·유럽으로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코로나19 대유행 이전과 비교해 한국의 대외경쟁력을 묻는 질문에는 응답기업의 27%가 ‘좋아졌다’고 답했으며, 53%는 ‘변함없다’라고 밝혔다.
코로나 시대 우리 기업의 해외 진출 현황을 묻는 질문에는 ‘축소’(43.0%)하거나 ‘보류’(9.3%)했다는 답변이 절반에 달했다. 예상되는 코로나 회복 시기는 44.7%가 ‘1년 내’, 35.7%가 ‘2년 내’라고 답했다.
앞으로의 경기 흐름에 대해서는 기업의 82%가 ‘개선될 것’이라고 답하며,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따른 경기 회복 기대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안덕근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는 “현재 우리 기업의 해외 진출이 원활하지 못한 것은 사실이나 코로나 이전과 이후를 경계로 진출전략에 변화가 느껴진다”며 “코로나 범유행 이후 글로벌가치사슬(GVC) 재편과 미중 통상갈등 등으로 인해 우리 기업의 전통적 진출 대상국이었던 중국과 동남아를 벗어나 빠른 경기회복이 예상되는 미국, 유럽 같은 선진국 중심 지역으로의 진출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는 것이 코로나 이전과 확연히 달라진 점”이라고 말했다.
원활한 해외진출을 위해 우리 정부에 가장 기대하는 지원정책은 ‘금융지원’(35.5%)이 꼽혔다. △자가격리면제 등 출입국우대(34.0%) △정확·신속한 현지정보제공(29.8%) △백신우선접종(19.3%) 등이 뒤를 이었다.
강석구 대한상의 국제통상본부장은 “코로나 대유행 이후 우리기업의 해외진출이 주춤했으나 각국이 경쟁적으로 코로나 대응 경기부양책을 내놓고 백신접종에 따라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앞으로 해외진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며 “코로나 이후 변화된 경제 환경에 맞춰서 정부도 기존의 정책틀을 벗어나 새로운 관점에서 통상지원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수출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코로나 이후 기업의 해외 진출 동향과 대응과제’ 조사결과, 수출기업의 58.3%가 ‘코로나 이후를 대비해 해외 진출전략에 다변화를 모색하고 있다’고 답했다고 18일 밝혔다.
먼저 고려하고 있는 진출전략을 묻는 질문에는 △지역 다변화(54.9%) △관리방식 비대면화(42.9%) △마케팅방식 다변화(32.6%) △품목 다변화(29.1%)의 순으로 응답했다.
코로나19 대유행 상황으로 인해 기존의 전략만으로는 글로벌 경쟁 대응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분석된다.
코로나19 대유행 이전과 비교해 한국의 대외경쟁력을 묻는 질문에는 응답기업의 27%가 ‘좋아졌다’고 답했으며, 53%는 ‘변함없다’라고 밝혔다.
코로나 시대 우리 기업의 해외 진출 현황을 묻는 질문에는 ‘축소’(43.0%)하거나 ‘보류’(9.3%)했다는 답변이 절반에 달했다. 예상되는 코로나 회복 시기는 44.7%가 ‘1년 내’, 35.7%가 ‘2년 내’라고 답했다.
앞으로의 경기 흐름에 대해서는 기업의 82%가 ‘개선될 것’이라고 답하며,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따른 경기 회복 기대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안덕근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는 “현재 우리 기업의 해외 진출이 원활하지 못한 것은 사실이나 코로나 이전과 이후를 경계로 진출전략에 변화가 느껴진다”며 “코로나 범유행 이후 글로벌가치사슬(GVC) 재편과 미중 통상갈등 등으로 인해 우리 기업의 전통적 진출 대상국이었던 중국과 동남아를 벗어나 빠른 경기회복이 예상되는 미국, 유럽 같은 선진국 중심 지역으로의 진출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는 것이 코로나 이전과 확연히 달라진 점”이라고 말했다.
원활한 해외진출을 위해 우리 정부에 가장 기대하는 지원정책은 ‘금융지원’(35.5%)이 꼽혔다. △자가격리면제 등 출입국우대(34.0%) △정확·신속한 현지정보제공(29.8%) △백신우선접종(19.3%) 등이 뒤를 이었다.
강석구 대한상의 국제통상본부장은 “코로나 대유행 이후 우리기업의 해외진출이 주춤했으나 각국이 경쟁적으로 코로나 대응 경기부양책을 내놓고 백신접종에 따라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앞으로 해외진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며 “코로나 이후 변화된 경제 환경에 맞춰서 정부도 기존의 정책틀을 벗어나 새로운 관점에서 통상지원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