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8/05/20210805160450782617.jpg)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산업통상자원부와 기획재정부 등 7개 부처는 5일 제2차 철강 및 원자재 수급 대응을 위한 대책 회의를 열고 철강 공급물량 확대 방안 등을 논의했다.
회의를 개최한 배경에는 최근 철근 가격의 상승이 있다. 지난 6월 말 정부의 수급 대책 발표 이후 톤당 100만원대로 내려갔던 철근 가격은 최근 120만원을 넘어섰다. 건설현장에서 철근 수요가 늘고, 일부 사재기 현상과 겹쳐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했기 때문에 벌어진 현상이다.
다만 정부는 올해 하반기 철근의 수급이 안정적일 것으로 봤다. 하반기에 수요 대비 약 10만톤이 넘는 철근이 공급될 것이란 전망을 첨부했다. 정부가 예측한 하반기 철근 수요는 작년보다 약 9%가량 늘어난 550만톤이다. 철근 공급은 11% 늘어난 560여만톤으로 10만톤 가량 여유가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정부는 다음 주부터 시장이 안정될 때까지 합동점검단을 재가동해 사재기 등을 점검하고, 위법행위가 발견되면 강력히 조치할 계획이다. 부처별로 역할을 나눠 단계별 모니터링도 강화하기로 했다.
국토부는 건설 대기업의 수요 분산을 유도한다. 하도급사의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원도급사가 자재비 인상분을 분담하면 건설업 상호협력 평가 때 가점을 부여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산업부는 국내 철강사들이 생산설비를 풀 가동할 것을 독려하고, 관세청은 철근 수입과 출납 상황을 일일 단위로 모니터링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