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쇼핑업계의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다. 유통시장 트렌드 변화로 주력 사업인 TV홈쇼핑 수익은 줄어드는데 송출 수수료는 오히려 매년 증가하면서다. 모바일이나 라이브커머스(라방) 등 신규 채널에 대한 투자와 마케팅 비용을 늘리며 생존을 모색하고 있지만, 눈에 띄는 성과가 나타나지 않아 하반기에도 수익성 개선이 요원해 보인다.
1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CJ온스타일(CJ ENM 커머스부문)의 2분기 영업이익은 29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0% 줄었다. 영업이익률은 8%로 지난해 4분기 13%, 지난 1분기 10%에 이어 3분기 연속 하락했다. 전체 취급액(판매액)은 949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3% 감소했다. 모바일 전환에 집중하면서 TV 취급액이 8.6%나 줄어든 영향이다.
GS홈쇼핑(별도)은 영업이익이 317억원으로 23.6% 감소했다. T커머스 채널 성장으로 전체 취급액은 1조1772억원으로 3.8% 늘었지만 송출 수수료와 마케팅비, 합병 비용 등으로 수익성은 부진했다. 판관비도 증가해 2분기 판관비율은 작년보다 0.6%포인트 높아진 16.5%로 집계됐다.
롯데홈쇼핑 역시 영업이익이 18.1% 줄어든 310억원을 기록했다. 취급고는 전년 동기 대비 4.6% 늘었다. 하지만, 송출 수수료는 31억원, 판관비·IT운영비 등은 지난해보다 6% 증가했다.
업계에서는 부진한 성적표를 두고 일시적이 아닌 "올 것이 왔다"는 반응이다. 지난해는 코로나19로 반짝 '집콕' 수혜를 입었지만, 코로나 회복 심리로 오프라인 소비가 늘어나자 타격을 입었다는 것이다. 아울러 이커머스 경쟁에 따라 TV홈쇼핑 중심의 사업 구조를 모바일로 전환하기 위한 투자와 마케팅 비용은 하반기에도 증가할 수밖에 없다. 모바일, 온라인에서 매출액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그만큼 비용 투자도 수반되기 때문에 당장 수익을 낼 수 있는 구조가 아니라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CJ온스타일은 200억원을 들여 차세대 영업시스템을 구축하고 100명 규모의 IT인력 채용에 나서는 등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투자를 늘리고 있다. CJ온스타일 관계자는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을 위해 IT 인프라 구축과 인재 확보가 필수적"이라며 "지속적이고 공격적인 투자를 통해 디지털 경쟁력 강화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롯데홈쇼핑은 연령대, 라이프스타일 등을 세분화한 카테고리별 모바일 쇼핑 전문관을 운영하고 나섰다. TV홈쇼핑 생방송 화면에는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기술을 적용하는 등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재걸 롯데홈쇼핑 방송운영부문장은 "언택트 소비에 발맞춰 TV홈쇼핑뿐만 아니라 티커머스 등 다양한 채널에 최첨단 디지털 기술을 적용해 상품 주목도를 높이며 차별화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늘어나는 TV홈쇼핑 송출수수료도 발목을 잡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송출 수수료는 2조234억원으로 2조원을 넘어섰고 홈쇼핑사들의 방송 매출액 가운데 절반 이상인 53.1%를 차지했다. 매출이 정체된 상태에서도 수수료 비용은 매년 늘어나고 있다. 올해 송출수수료도 약 20%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주무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과도한 수수료 체계에 대한 문제제기에 따라 개선안을 마련하고 있지만, 개별 기업간 계약인데다 양측의 입장차이가 큰 탓에 해결이 쉽지 않아 보인다. 최근 과기정통부는 경쟁입찰 제도를 포함한 수수료 개선안을 업계에 전달했지만 업계에서 크게 반발하며 보류된 상황이다.
1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CJ온스타일(CJ ENM 커머스부문)의 2분기 영업이익은 29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0% 줄었다. 영업이익률은 8%로 지난해 4분기 13%, 지난 1분기 10%에 이어 3분기 연속 하락했다. 전체 취급액(판매액)은 949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3% 감소했다. 모바일 전환에 집중하면서 TV 취급액이 8.6%나 줄어든 영향이다.
롯데홈쇼핑 역시 영업이익이 18.1% 줄어든 310억원을 기록했다. 취급고는 전년 동기 대비 4.6% 늘었다. 하지만, 송출 수수료는 31억원, 판관비·IT운영비 등은 지난해보다 6% 증가했다.
업계에서는 부진한 성적표를 두고 일시적이 아닌 "올 것이 왔다"는 반응이다. 지난해는 코로나19로 반짝 '집콕' 수혜를 입었지만, 코로나 회복 심리로 오프라인 소비가 늘어나자 타격을 입었다는 것이다. 아울러 이커머스 경쟁에 따라 TV홈쇼핑 중심의 사업 구조를 모바일로 전환하기 위한 투자와 마케팅 비용은 하반기에도 증가할 수밖에 없다. 모바일, 온라인에서 매출액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그만큼 비용 투자도 수반되기 때문에 당장 수익을 낼 수 있는 구조가 아니라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CJ온스타일은 200억원을 들여 차세대 영업시스템을 구축하고 100명 규모의 IT인력 채용에 나서는 등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투자를 늘리고 있다. CJ온스타일 관계자는 "성공적인 디지털 전환을 위해 IT 인프라 구축과 인재 확보가 필수적"이라며 "지속적이고 공격적인 투자를 통해 디지털 경쟁력 강화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롯데홈쇼핑은 연령대, 라이프스타일 등을 세분화한 카테고리별 모바일 쇼핑 전문관을 운영하고 나섰다. TV홈쇼핑 생방송 화면에는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기술을 적용하는 등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재걸 롯데홈쇼핑 방송운영부문장은 "언택트 소비에 발맞춰 TV홈쇼핑뿐만 아니라 티커머스 등 다양한 채널에 최첨단 디지털 기술을 적용해 상품 주목도를 높이며 차별화를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늘어나는 TV홈쇼핑 송출수수료도 발목을 잡고 있다.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송출 수수료는 2조234억원으로 2조원을 넘어섰고 홈쇼핑사들의 방송 매출액 가운데 절반 이상인 53.1%를 차지했다. 매출이 정체된 상태에서도 수수료 비용은 매년 늘어나고 있다. 올해 송출수수료도 약 20%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주무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과도한 수수료 체계에 대한 문제제기에 따라 개선안을 마련하고 있지만, 개별 기업간 계약인데다 양측의 입장차이가 큰 탓에 해결이 쉽지 않아 보인다. 최근 과기정통부는 경쟁입찰 제도를 포함한 수수료 개선안을 업계에 전달했지만 업계에서 크게 반발하며 보류된 상황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