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8/19/20210819101503913059.jpg)
추진 체계도 [사진=인천시 제공]
인천시는 19일 산자부가 추진하는“제조분야 친환경 관리인프라 구축사업”에 최종 선정돼 이 같은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주관기관은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 이고 참여기관인 숭실대학교, 인천TP·전북TP·울산TP와 함께 인천·전북·울산 3개 권역별로 추진되며 사업기간인 2025년까지 총사업비는 626억원(국비 415억, 지자체 140억, 민간 71억)이 투입된다.
이 사업은 지역별 기존 주력산업을 신산업분야로의 전환 및 지원을 위해 화학기반 중견・중소 제조 기업의 친환경,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지원하게 되며 3개 권역 중 인천을 거점으로 추진해 총사업비 626억원 중 인천에 269억원(국비 169억, 시비 60억, 민간 10억 )이 투입될 예정이다.
시는 친환경적 소재 개발, 물질 유해성 확인·저감 등을 위해 지역별 전략산업에 맞춰 3개 ‘개방형 실험실(오픈 랩)’센터에 54종의 장비를 구축하고 5년간 총 500건의 성능·시험평가를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안전 분야 투자가 어려운 소규모 사업장 등을 대상으로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보급, 노후화·고위험 시설의 개선, 컨설팅 등 3종의 사업장 '안전관리 통합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키로 했다.
시는 이를 통해 유해성 평가 기간이 30% 단축되고 비용이 75% 절감될 것으로 예상하며 이 같은 패키지형 연계 지원을 통해 중소사업장의 자체 안전관리 역량 강화와 안전 관련 규제 대응에 대한 기업부담이 완화될 것으로 기대했다.
시는 이번 사업으로 관내 화학분야 기업의 제조기술 첨단화 및 고도화를 이끌어 유망기업에 대한 기능성·신뢰성 향상 및 고부가가치화를 통한 혁신역량 강화할 방침이다.
또한 분석 장비·기술지원 서비스·협력네트워크 등 제공을 통해 성장기반을 조성하고 시험평가 비용·강화된 규제대응 비용·시설개선 지원 등 직접 지원을 통해 화학·소재 분야뿐만 아니라 제조분야 전반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변주영 시 일자리경제본부장은 “이번 사업으로 제조기업의 친환경·안전 개선과 기업의 자체적인 안전역량을 강화하고, 연구개발·생산·수출에 집중할 수 있는 산업 환경을 조성해, 제조업의 혁신성장과 그린뉴딜을 통한 신성장 동력 창출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제조 기업이 밀집한 산업단지 내 화학물질 취급사업장의 화재·폭발, 누출사고 등 안전사고 발생이 계속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유해 화학물질 발생 방지를 위한 정부정책 및 규제 확대·강화(화평법, 화관법, 산업법 등)에 따른 중소기업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상황이어서 산업위기 극복을 위해 제조 기업의 친환경, 안전관리 역량 강화 지원이 더욱 절실한 실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