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부산산업과학혁신원(BISTEP)이 내놓은 '부산·울산·경남 협력 기반 부산 수소산업 육성 전략'이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수소연관 기업 가운데 24.9%가 동남권에 위치하고 있다. 그 중 수소 생산, 저장, 운송 기업만 놓고 보면 그 비중은 40%에 달한다.
보고서는 모빌리티 완제품 및 안전 분야 기업도 다른 시도에 비해 많아 수소 인프라 관련 정부 사업 및 산업 육성을 위한 풍부한 역량을 갖추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런 인프라를 기반으로 울산은 수소 시범도시, 클러스터, 규제특구 등 3대 정부 공모사업에 모두 선정됐다. 부산은 수소 선박에 강점을 두고 있으며, 경남은 창원에 수소생산기지 거점을 조성하고 있다.
보고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한 과제로 항만 수소 모빌리티 개발과 인프라 구축 및 실증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그린 수소 자체 생산 여건을 조성하는 동시에 항만을 통한 그린 수소 수입·공급 방안을 마련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부·울·경 협력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수소경제 실현을 위한 전담 기구 설립과 전문 인력 약성을 위한 지자체간 협력 방안 마련이 동남권 수소경제 활성화의 주요 방향이 돼야 한다고 내다봤다.
부산산업과학혁신원 관계자는 "또한 자동차부품, 조선기자재, 기계소재부품 등 지역 주력 제조업의 강점을 수소산업에 접목해야 한다"며 "미래 산업전환과 구조 고도화 및 지역 강소기업의 수소사업 진출 등을 정책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글로벌 각국이 탄소배출을 규제하면서 수소 관련 기업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국내 다수 지자체도 수소 산업 육성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1/09/19/20210919172245719310.jpg)
[사진=부산시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