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의 활력을 제고하고 청년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된 ‘청년몰’의 줄폐업이 이어지면서 사업 성과 관리 제고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1일 신정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 말 기준 청년몰의 폐업률은 42.1%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부터 2020년까지 최근 4년간 정부가 지원한 청년몰 672곳 중 283곳이 폐업했으며 이전 점포와 휴업 점포도 각각 86곳(13%), 18곳(2.7%)으로 집계됐다.
점포 영업률(지원점포 가운데 영업 중인 점포 비율)은 2017년 개장 점포의 경우 63%, 2018년 개장 점포는 66%에 불과했다. 최초 지원 기준 생존율(지원점포 가운데 이전 및 영업 중인 점포 비율)은 2017년 34%, 2018년 50%, 2019년 81%에 그쳤다.
실제로 제천중앙시장 청full제천몰, 강화중앙시장 개벽2333, 중앙메가프라자 청년구단, 국제시장 109 in 청년몰 등은 올해 7월 말 기준 영업률이 10% 미만으로 나타났다. 강화중앙시장 개벽2333은 지원 점포 20곳 중 18개가 문을 닫았다. 부산 국제시장에 위치한 109 in 청년몰도 2018년 개장한 뒤 3년 만에 지원 점포 14곳 전체가 폐업했다.
청년몰의 폐업 사유로는 경영악화가 78곳으로 전체 27.6%를 차지했다. 나머지는 기타 사유 및 무응답으로 사업 실패 요인 분석이 제대로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청년몰은 전통시장 내 청년 점포와 문화체험, 쇼핑, 지역민 소통 등이 융합된 복합공간이다. 3단계 평가 후 합산점수 순에 따라 중기부 심의조정위원회에서 최종 심의‧의결하며 규모에 따라 최대 40억원을 차등 지원한다.
하지만 임대료 지원 외 후속 관리 부재 등으로 폐업이 잇따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청년몰의 관리는 지자체가 하고 있으며 협약상 관리 기간은 5년이다. 2017년 개장한 청년몰의 경우 내년에 관리 기간이 종료된다. 이에 따라 청년몰 폐업이 더욱 가속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신 의원은 “청년몰별 특화 전략을 제대로 설계해야 한다”며 “열악한 입지에 조성되지 않도록 주요 상권이나 신흥 상권, 지자체의 후속 지원과 관리가 용이한 공설시장 등에 우선 입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영업률이 양호한 청년몰의 사례를 적극적으로 연구해 벤치마킹해야 한다”며 “입점 시 현장실무 맞춤형 교육 지원과 지자체‧상인회의 지속적인 사후관리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신 의원은 “빈 점포 발생 시 연쇄적인 상권 침체로 번져나갈 수 있는 만큼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현장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며 “지자체 관리 기간 이후에도 자생력을 갖추고 생존할 수 있도록 중장기 사후 관리책을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