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졸 이상 비정규직 근로자가 280만명을 넘어섰다. 역대 최다치다. 고용시장에 훈풍이 불고 있다고 하지만, 일자리 질은 오히려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대졸 이상 비정규직 근로자는 284만1000명이다. 1년 전보다 32만명(12.7%) 늘어난 것.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3년 이후 역대 최다치다.
전체 비정규직 근로자(806만6000명) 가운데 대졸 이상 비정규직이 차지하는 비중은 35.2%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포인트 상승하며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를 찍었다. 다만 통계청은 2019년부터 기간제 근로자가 추가로 반영된 만큼 2018년 이전과 2019년 이후 통계를 비교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근로 형태별로는 한시적 근로자가 202만2000명(71.2%)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한시적 근로자는 근로계약 기간이 정해져 있는 기간제 근로자와 비자발적 사유로 계속 근무를 기대할 수 없는 비기간제 근로자를 포함한다. 이외에 일주일에 36시간 미만 일하는 시간제 근로자는 100만5000명(35.4%), 파견·용역·일일 근로자와 특수형태근로종사자를 포함하는 비전형 근로자는 55만7000명(19.6%)이었다.
대졸 이상 비정규직 가운데 여성은 161만2000명(56.7%), 남성은 122만9000명(43.3%)이었다.
한국 경제 '허리' 역할을 하는 청년층 비정규직도 증가했다. 올해 8월 기준, 20대 비정규직은 141만4000명, 30대 비정규직은 101만6000명이었다. 청년층 비정규직은 총 243만명(30.1%)으로 1년 전보다 12만5000명 증가했다. 이외 60세 이상(29.8%), 50대(20.7%), 40대(17.6%) 등 순이었다.
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올해 8월 기준 대졸 이상 비정규직 근로자는 284만1000명이다. 1년 전보다 32만명(12.7%) 늘어난 것.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3년 이후 역대 최다치다.
전체 비정규직 근로자(806만6000명) 가운데 대졸 이상 비정규직이 차지하는 비중은 35.2%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포인트 상승하며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를 찍었다. 다만 통계청은 2019년부터 기간제 근로자가 추가로 반영된 만큼 2018년 이전과 2019년 이후 통계를 비교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근로 형태별로는 한시적 근로자가 202만2000명(71.2%)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한시적 근로자는 근로계약 기간이 정해져 있는 기간제 근로자와 비자발적 사유로 계속 근무를 기대할 수 없는 비기간제 근로자를 포함한다. 이외에 일주일에 36시간 미만 일하는 시간제 근로자는 100만5000명(35.4%), 파견·용역·일일 근로자와 특수형태근로종사자를 포함하는 비전형 근로자는 55만7000명(19.6%)이었다.
한국 경제 '허리' 역할을 하는 청년층 비정규직도 증가했다. 올해 8월 기준, 20대 비정규직은 141만4000명, 30대 비정규직은 101만6000명이었다. 청년층 비정규직은 총 243만명(30.1%)으로 1년 전보다 12만5000명 증가했다. 이외 60세 이상(29.8%), 50대(20.7%), 40대(17.6%) 등 순이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