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시는 스마트도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자가 통신망을 구축해 운영 3년 6개월 만에 사업비 전액을 회수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사진=대구시 제공]
대구시는 행정, 방범, 교통, 도로, 재난, 재해, 교육, 각종 CCTV 등 스마트도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구축한 자가 통신망이 운영 3년 6개월 만에 사업비 전액을 회수하는 효과를 거두고 흑자로 돌아섰다고 11일 밝혔다.
이는 대구시 자가 통신망이 매년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회선 임대료를 획기적으로 절감하기 위해 통신사에 의존하지 않고 대구시가 직접 구축하고 관리하는 독립적인 정보통신망으로 2016년부터 사업비 190억원을 투입해 2019년 1월에 망 구축을 완료했다.
이에 자가 통신망은 시 전역 775km에 이르는 광케이블 인프라를 이용해 370개 행정기관에 연결돼 있으며, 8개 분야 4400여 개소에 대용량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초고속 광대역 자가 통신망을 공급해 보안성, 안전성이 뛰어난 고품질의 스마트 시정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자가 통신망의 메인 컨트롤타워(주 관제센터) 역할을 하는 스마트광통신센터가 올해로 개소(’17.11.10.) 4주년을 맞게 됐으며, 2018년 상반기부터 본격 운영을 시작해 2021년 10월 말 현재, 연간 통신비 87억원의 절감 효과와 함께 스마트도시로서 명실상부한 필수 공공재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대구시는 자가 통신망의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운영과 시설의 중복투자 방지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해 전국 최초로 조례(’20.5.11.) 및 시행 규칙(’21.11.1.)을 제정해 시행하고 있다.
대구시 양기석 총무과장은 “스마트광통신센터 홍보관은 시민들에게 무료로 개방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근간이 되는 광통신 시설 및 스마트시티 관련 각종 콘텐츠를 연간 3천여 명의 시민들이 체험할 기회를 제공했다”라고 말했다.
이어 “또한 코로나19로 인해 일시 중지된 홍보관을 2022년부터는 정상 운영할 계획으로, 타 시도 및 각급 기관에서도 벤치마킹 방문이 끊이지 않고 있다”라고 전했다.
대구시는 앞으로도 지속해서 적용영역을 확대할 계획이며, 자가 통신망을 이용해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상수도 원격검침, 보안등 관제, 노상 주차장 관리, 성서·염색공단 환경(악취 등) 모니터링 등의 서비스를 할 수 있는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기반 자가 통신망과 차량흐름을 개선하는 AI(인공지능) 기반의 스마트 교통체계 자가 통신망 사업을 확대 추진 중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고 보안성과 경제성이 뛰어난 대구시 자가 통신망이 전국에서 가장 우수한 스마트시티 인프라로 자리매김했으며, 행정은 물론 다양한 스마트시티 서비스에 적용해 예산 절감과 함께 시민들의 통신복지 향상에 크게 이바지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대구시는 ‘지자체 숙의 기반 주민참여 및 협력·분쟁 해결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숙의 기반 주민참여 분야 우수상을 받았다. [사진=대구시 제공]
대구시 진수일 소통민원과장은 “대구시는 ‘시민 중심 민·관 협치’를 통해 구·군간 갈등으로 15년간 숙원으로 남아있던 대구시 신청사 건립 예정지를 시민이 직접 선정하면서, 시민 공론화를 통해 숙의 과정을 거친 시민이 평가에 참여해 장애요인을 최소화하고 선정되지 못한 후보 지역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수용성을 확보함으로써 숙의민주주의를 실현한 점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라고 전했다.
경진대회 주민참여 분야의 선정기준은 단체장의 노력, 공론화위원회 등 전담 조직 구성 여부, 대표성 있는 참여자 선발 여부, 숙의에 필요한 충분한 정보·교육 제공 여부, 주민참여 결정에 대한 지자체 수용 정도, 타 지자체 확산 가능성 등이었으며, 심사는 전문가 서면 심사와 광화문 1번가 국민심사, 1:1 인터뷰 심사과정으로 진행됐다.
이에 심사 결과 숙의 기반 주민참여 분야에서 시민 공론화를 통한 신청사 건립 예정지 선정이 우수상을 받게 됐다.
차혁관 대구시 자치행정국장은 “신청사 건립 예정지 선정과정의 숙의 기반 공론화가 주민참여 분야에서 좋은 평가를 받은 데 큰 의미가 있다”라며, “공감하고 소통하는 숙의 기반의 시민참여가 지속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