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부산자치경찰위원회' 예산 '통큰 지원' 105억원 확정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부산)박신혜 기자
입력 2021-12-10 13:44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치안사업 추진 위한 시 재정 투입율 전국 광역지자체 중 가장 높아

부산자치경찰위원회 예산 분포.[그래픽=부산시 제공]

 부산시는 내년도 부산시 자치경찰위원회 예산안이 최종 105억원으로 확정됐다고 10일 밝혔다.

오는 2022년도 예산은 치안과 행정이 연계된 부산형 치안 시책을 발굴하고, 시민 맞춤형 치안 사업에 중점을 두고 편성됐다. 

특히, 다양하고 차별화된 홍보활동 전개, 자치경찰 공무원 복지·처우 개선 등 제도 시행 초기 확장적이며 균형감 있는 예산편성으로 자치경찰제 수용성 제고 및 지속가능한 부산형 자치경찰제 실현을 유도할 계획이다.

예산 현황을 보면, ‘더 안전하고 행복한 부산 만들기’를 정책목표로 생활안전, 여성·청소년, 교통사업 분야 치안사업비 85억원(국비 66억원 포함)이 편성됐다.

이는 전체 위원회 예산의 80.9%를 차지한다. 내년도 위원회 전체 예산액 105억 원 중 치안사업 추진을 위한 시 재정 투입율은 약 38%로 전국 광역지자체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나머지는 자치경찰공무원 후생복지비, 민·관·경 치안활동 지원, 위원회 기본경비 등이 편성됐다.

우선, 위원회는 부산형 자치경찰 치안사업 대폭 확대하겠다는 방침이다. 예산편성 단계부터 시의회, 부산경찰청과 적극적인 소통과 협업을 추진해왔으며, 주민 밀착형 치안시책 발굴, 자치경찰 시민 인지도 제고 및 뉴미디어 치안시책 홍보 등을 위한 예산편성에 집중했다.

자치경찰 현장 공무원 복지·처우 개선 및 민·관·경 치안활동 지원에도 투입된다. 치안현장 경찰관들의 처우를 단계적으로 개선하고 다양한 복지제도를 통해 자치경찰제의 현장 수용성 제고 및 우수인력 유인 등 부산형 자치경찰제의 성공적 정착을 유도할 계획이다.

또한, 부산지역 민·관·경 협력 치안거버넌스를 구축해 자치행정과 치안행정 그리고 시민생활과 연계하는 지역치안협의회 활동 지원, 전문가자문단 및 시민소통단 운영 등 치안활동 지원에도 예산을 편성했다.

올해 5월 출범한 부산자치경찰위원회는 지속가능한 부산형 자치경찰제 실현을 위해 부산경찰청 기존 사업수행을 위한 국비 66억원을 확보했다.

특히, 이번에는 부산시와 부산시의회와의 소통과 협업으로 시비 40여억원을 편성해 부산시 자치경찰의 역할과 기능을 더욱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전국 시·도자치경찰위원회가 행안부·기재부 등 관계기관에 건의한 자치경찰제 운영비에 대한 국비 보조는 지난 3일 국회를 통과한 내년도 중앙정부 예산(전국 연 130억 원, 2년간)에 포함돼 지방자치단체의 재정부담이 줄어들 전망이다. 

정용환 부산시 자치경찰위원장은 “내년도 위원회 예산은 치안과 행정이 융합하는 부산형 정책이 반영된 것으로, 이러한 예산을 바탕으로 더욱더 시민 밀착형 치안 서비스 제공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경찰청, 시의회와 소통하고 협업 관계를 증진하여 자치경찰의 인지도를 높이고 지역 맞춤형 치안시책 추진을 위한 예산을 계속해서 확보해 나가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