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문재인 정부 들어 부동산 가격이 폭등한 가운데, 무리한 공시가격 현실화와 징벌적 세율 인상으로 종합부동산세 부담이 커진 상황에서, 부모님의 갑작스러운 사망 등 예상치 못한 주택 상속으로 다주택자로 분류되어 폭탄에 가까운 종부세 날벼락을 맞았다고 고통을 호소하는 국민이 많아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법안을 마련한 것이다.
현행 종합부동산세법은 1주택을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소유하면 이를 각각 1주택을 소유한 것으로 보아 공제를 적용하거나 세액을 계산하도록 하고 있다.
더불어 문재인 정부 들어 다주택자에 대한 중과 도입 등 역대급으로 종부세가 강화되면서 납세의무자들 간에 상대적으로 불형평한 상황에 대한 문제 제기가 계속되고 있다.
이에 추 의원은 “종합부동산세법이 부동산보유에 대한 조세부담의 형평성을 높인다는 정책 목적과는 전혀 관계없이 납세의무자 간의 수평적 공평성마저 훼손하고, 상속제도나 결혼제도와 같은 사회 유지의 근간이 되는 제도를 흔드는 상황에 이르렀다고 비판하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종합부동산세법 제10조의3 상속주택 소유자 등의 납세의무 등에 관한 특례를 신설한다”라고 밝혔다.
추 의원의 종합부동산세법 일부개정법률안은 우선 상속받은 주택의 경우 종합부동산세 계산 시 별도로 소유한 것으로 구분 취급하여 다주택자로 구분되는 불합리함을 제거하고 세액도 별도로 계산하도록 하여 세 부담을 덜어 주도록 했다.
또한 주택을 공동으로 소유한 예도 주택 등의 납세의무자가 공제나 세액계산 등에 있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납세의무자의 합산지분율에 따라 종부세법 규정을 적용받도록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