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29일 서울 광진구 보건복지행정타운의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을 방문, 회의 전 외투를 벗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30일 "경기도 공공산후조리원 등 현재 운영 중인 공공산후조리원을 전국으로 확대하겠다"고 공약했다. 표준화를 통해 민간 산후조리원의 서비스질도 향상시킨다는 각오다.
이 후보는 이날 오전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재명의 합니다_소확행 공약 35'를 발표, "모든 산모와 아기가 적절한 산후 돌봄을 받도록 지원을 대폭 늘리겠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구체적으로 그는 "돌봄 서비스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지역부터 점차 확대해 가겠다"며 "정부의 지원을 확대해 지자체의 재정 부담도 덜게 하겠다"고 말했다.
이 후보에 따르면 산모의 75.1%가 산후조리원을 통해 출산 직후 돌봄 서비스를 받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민간에서 운영 중인 산후조리원의 이용요금은 2주 기준 평균 274만원으로 큰 경제적 부담이다.
그나마 민간 시설은 대도시에 집중돼 있고 신생아 수가 극히 적은 농어촌 등은 산후조리원이 없어 막 출산한 몸으로 원정 산후조리를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 후보는 "서비스 질이 보장되며 적정한 가격으로 운영되는 공공산후조리원에 대한 요구가 대단히 높다"면서 자신이 경기도 지사 때 만든 '경기 여주 공공산후조리원' 사례를 소개했다.
그는 "개원하자마자 '예약 전쟁'을 빚을 정도로 인기였다"며 "그러나 지자체마다 재정 여력이 달라 공공산후조리원은 전국 13곳에 불과한 실정"이라고 아쉬워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