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광수 은행연합회장 [사진=은행연합회]
김 회장은 30일 신년사를 통해 "대변혁하는 금융산업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금융회사가 이미 보유한 금융데이터 뿐만 아니라 비금융 데이터, 가상자산과 가상공간에서 생성되고 있는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수집·분석할 수 있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회장은 "테크 기업의 금융 진출로 산업과 금융이 융합되면서 금융·비금융 융합데이터의 중요성이 빠르게 커지고 있다"면서 "이를 위해 금융회사는 기존의 금융을 넘어서서 비금융 생활서비스로 진출해야 할 뿐 아니라 가상자산과 가상공간 분야로 사업을 확장해 데이터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김 회장은 또한 금융권의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해 ESG 비전과 목표를 구체화해 나갈 것을 주문했다. 그는 "2022년은 유럽에서 그린 텍소노미(Green Taxonomy)에 기반해 은행권의 녹색자산 투자비율을 공시하도록 하는 등 그린워싱을 걸러내고자 하는 시도를 더 강화할 것으로 보인다"며 "해당 기준은 국내 금융회사에도 가까운 미래에 적용될 것인 만큼 올해부터는 넷제로(Net-zero) 경영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실천할 때"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김 회장은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새롭게 발생하는 리스크에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금융회사의 급격한 디지털화는 경영진들에게 익숙한 기존의 방식으로는 명확히 측정되지 않는 새로운 리스크를 촉발시킬 우려가 있다"며 "따라서 금융회사는 데이터 확보와 디지털 전환을 위해 다양한 혁신을 시도함과 동시에 이를 통제·관리·점검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과 데이터 복원력 강화 방안에 대해서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