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이미지 확대

▲ 1월 10일부터 백화점과 대형마트도 방역패스가 적용되었다. 방역패스 실효성과 적법성을 두고 법정 공방이 이어지고 있지만 정부는 일단 예정대로 시행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반발하는 집단행동은 눈에 띄게 늘고 있다.
이미지 확대

▲ 시민단체, 현직 의사를 비롯하여 총 4건의 방역패스 효력 정지집행이 신청되었다. 백신 의무접종과 국민 기본권이 맞붙은 형국이다.
이미지 확대

▲ 국민들이 백신 접종을 꺼리는 가장 큰 이유는 불안과 불신 때문이다. 백신 접종 후 부작용을 주장하는 사례는 끊이지 않고 있다.
이미지 확대

▲ 이 때문인지 부스터샷 접종률은 급감했다. 6일 0시 기준 38.3%에 머물렀다. 3차 접종은 지난달 많을 때는 하루 80만 명에 달했으나 최근 30만 명대로 떨어졌다.
이미지 확대

▲ 해외에서도 부스터샷을 둘러싼 공방은 치열하다. 싱가포르 정부는 부스터샷을 맞아야 접종 완료로 인정한다고 발표했다. 백신 접종률이 낮은 프랑스도 최근 백신패스 법안이 의회를 통과했다.
이미지 확대

▲ 백신은 과학이다. 일부 부작용을 감안하더라도 여러 데이터를 통해 효과는 충분히 입증됐다. 인류 최초 백신은 천연두 백신이다. 1798년 영국 의사 에드워드 제너가 발명한 백신으로 천연두는 종식됐다. 홍역 백신 또한 마찬가지다.
이미지 확대

▲ 반면 백신 음모론은 끊이지 않는다. 2019년 세계를 휩쓴 홍역 사망자는 20만7,500명, 대부분 5세 이하 아동이었다. 원인은 홍역 백신과 자폐증 간 연관성을 주장한 논문에서 시작됐다. 1998년, 앤드루 웨이크필드 교수가 발표한 논문은 거짓으로 판명됐지만 음모론은 좀비처럼 되살아나고 있다. 이 때문에 10년 전 홍역 퇴치를 공식 선언한 선진국 미국에서 멀쩡한 아이들이 숨졌다.
이미지 확대

▲ 스위스에 거주하는 김진경씨는 <오래된 유럽>에서 이를 ‘망각효과’로 설명했다. 백신 접종으로 환자가 사라지면서 위험성을 망각한 결과라는 것이다. 소아마비는 감염돼도 다수는 증상 없이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다가 다른 사람에게 전파한다. 김씨는 “내가 다리를 절 확률이 낮은데도 소아마비 백신을 맞는 건 나를 위한 게 아니라 다리를 절지도 모르는 남을 위한 것”이라며 백신을 통한 연대를 주장했다.
이미지 확대

▲ 개인 권리를 신성불가침으로 여기는 스위스 국민들조차 기본권보다 공동체 유지 필요성을 인정한 셈이다. 지난해 11월 28일 코로나19 특별 인증을 받은 사람만 공공 행사와 집회에 참석할 수 있도록 강제하는 ‘백신패스 법’ 국민투표 결과 62% 찬성했다. 앞서 영업금지와 통행을 제한하는 ‘코로나 법’도 60% 이상 찬성했다.
이미지 확대

▲ 부스터샷 의무 접종이 달갑지 않고 일상생활에서 불편한 건 사실이다. 하지만 백신은 과학이고, 접종은 연대라는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전문가라면 이해관계나 정치적 입장을 떠나 백신 효과를 과학적으로 알려야 한다. 정부 또한 신뢰 형성에 각별한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
카드제작=임승희 인턴기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