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
![충남도청사 전경 [사진=충남도]](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2/03/20220203135759283437.png)
충남도청사 전경 [사진=충남도]
제3차 환경보건 종합계획(2022∼2030)의 비전은 ‘건강한 환경보건 복지사회로 소외 없는 더 행복한 충남 구현’이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4대 전략 38개 세부과제를 마련했다.
4대 전략은 △유해인자 사전감시망 고도화 △환경보건 안전망 구축 △도민 밀착형 환경보건 사업 확대 강화 △환경보건 민관 협력(거버넌스) 구축이다.
올해는 4대 전략에 따른 세부과제 중 7개 분야 26개 사업을 추진, 총 104억원을 투입한다.

특히 도는 신규 도입한 주민 청원 제도 운영을 철저히 할 계획이며, 그간 추진한 주민 건강영향조사 내용을 분석해 주민과 공유하고 사후 관리 사업을 발굴할 방침이다.
아울러 석면피해자 힐링캠프 운영 및 건강 관리 서비스, 석탄화력발전소 주변지역 영아 가정 공기청정기 보급 등 도민 생활 여건 증진과 밀접한 기존 사업도 지속 시행한다.
안재수 도 기후환경국장은 “우리 도에는 전국의 50%에 달하는 29기의 석탄화력발전소가 있고 자연 발생 석면 순위도 전국 4위로 높다”라며 “생활 환경·보건 여건이 취약하지만, 앞으로 제3차 환경보건 종합계획을 바탕으로 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과 도민 피해 구제 지원 사업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는 그동안 건강하고 안전한 환경 조성을 위해 환경오염 취약지역을 대상으로 건강영향조사를 벌이는 등 7개 분야 22개 사업을 추진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