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7/07/20220707121421709139.jpg)
7일 오전 부천시 온세미코리아에서 열린 경기도-부천시-온세미 투자협약식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중)와 왕 웨이청 온세미 COO(우), 조용익 부천시장(좌)이 협약서에 서명을 한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이날 오전 부천시 오정구 평천로에 있는 온세미코리아 본사에서 조용익 부천시장, 왕 웨이 청(Wei-Chung Wang) 온세미 최고운영책임자와 투자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제조시설 착공식을 진행했다.
이날 행사에는 김경협·서영석 국회의원과 강병곤 온세미코리아 대표이사, 염종현 도의원 등 190여 명이 참석했다.
김 지사, “경기도가 전세계 반도체 메카 되도록 모든 힘을 합치자”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7/07/20220707121503752941.jpg)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7일 오전 부천시 온세미코리아에서 열린 경기도-부천시-온세미 투자협약 및 착공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김 지사는 이어 “대한민국에서 만들어지는 반도체 부가가치의 83%가 도내에서 만들어지고 있다”며 “온세미를 중심으로 앞으로 만들어지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까지 경기도가 전 세계 반도체 메카가 되도록 함께 힘을 합쳐 일하자”고 강조했다.
온세미코리아, 실리콘카바이드 전력반도체 연구 · 생산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7/07/20220707122047157863.jpg)
7일 오전 부천시 온세미코리아에서 열린 경기도-부천시-온세미 투자협약 및 착공식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왕 웨이청 온세미 COO, 강병곤 온세미코리아 대표, 조용익 부천시장 등 주요 참석자들이 착공식 테이프컷팅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온세미코리아는 또 이번 투자를 시작으로 전력반도체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소재, 장비, 부품을 국내 업체로부터 3500억원 이상 구매할 예정으로 국내 중소협력업체와의 상생협력도 지속해서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온세미 코리아가 앞으로 생산하는 실리콘카바이드(SiC)는 차세대 전력반도체 신소재로 초기 시장을 선점해야 하는 국가 전략산업으로 지정돼 있으며 고전압·고전력·고온에 강하며 제품 경량화에 탁월해 세계 유수의 전기차 제조사들도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도-부천시, 인센티브 제시 등 온세미 연구소 유치에 '전력투구'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7/07/20220707121637924668.jpg)
7일 오전 부천시 온세미코리아에서 열린 경기도-부천시-온세미 투자협약식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중)와 왕 웨이청 온세미 COO(우), 조용익 부천시장(좌)이 협약서에 서명을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그 결과 온세미는 1조 4000억원 상당에 이르는 투자를 약속했고 2024년까지 1040억원 규모의 소재, 부품, 장비 국산화도 추진하기로 했다.
온세미의 투자는 도가 최근 12년간 유치한 해외 투자유치실적 가운데 반도체 분야에서는 최대 규모다.
한편 미국 애리조나주에 본사를 둔 온세미는 2021년 매출 70억 달러로 전력반도체 분야 세계 2위를 기록한 적이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