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9/26/20220926144418580442.jpg)
26일 오전 경기도청 4층 다목적회의실에서 열린 경기도-더불어민주당 예산정책협의회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사진=경기도]
김 지사는 이날 경기도청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경기도 예산정책협의회’에 참석해 “경제위기가 오게 되면 민생 현장과 가장 가까운 데 있는 지방정부의 역할이 중요해진다”면서 “보다 자율성을 갖고 민생 관련 위기 극복에 앞장설 수 있도록 도와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그러면서 “당에서 전폭적으로 지지해주시고 협조해 준다면 반드시 경기도에서 국민에게 안심을 줄 수 있고 민주당의 가치와 철학을 시현하는 모델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도는 이날 더불어민주당 지도부에 △지역화폐 발행을 위한 국비 지원, △도시재생지원, △GTX 조기추진 및 다양한 신설노선 검토,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지원 등을 건의했다.
도, 지역화폐 발행 국비지원 1904억원 건의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9/26/20220926143538281574.jpg)
26일 오전 경기도청 4층 다목적회의실에서 열린 경기도-더불어민주당 예산정책협의회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환영사를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도는 국비가 삭감되면 10% 지역화폐 혜택을 줄 수 없게 돼 국비 확보가 꼭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경기북도 특별자치도 설치, 군사시설보호 규제 합리화, 수도권 권역 재조정 등도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9/26/20220926143607539802.jpg)
예산정책협의회 모습 [사진=경기도]
수도권 장거리 출퇴근 시간 단축을 위한 GTX 사업 추진에 대해서도 지난 7일 국회 토론회에 이어 다시 한번 건의했다.
도는 GTX A노선 조기 개통과 B, C노선의 조기 착공, D.E.F.노선 신설 등 다양한 대안 노선도 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기북부 특별자치도 설치를 위한 입법 지원도 요청했다. 도는 지난 5월 29일 ‘강원특별자치도 설치 등에 관한 특별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만큼 강원도와 접경지역을 공유하고 같은 환경․상수원보호 규제를 받아온 경기북부의 성장 잠재력을 끌어올릴 수 있는 특별법 제정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도는 특별법에 군사시설 보호 규제 합리화, 수도권 권역 합리적 재조정 등의 내용을 담아야 한다고 건의했다.
이재명, '경기도는 대한민국의 축소판' 강조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9/26/20220926143641114494.jpg)
6일 오전 경기도청 4층 다목적회의실에서 열린 경기도-더불어민주당 예산정책협의회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경기도]
그러면서 “경기도는 대한민국의 축소판이다. 경기도에서 정부 차원에서 하기 어려운 위험성 있는 정책들을 실험해보고, 성공하면 확산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다”고 덧붙였다.
박홍근 원내대표는 “지역화폐 예산을 다시 살려 민생에 보탬이 되도록 하겠다”면서 “균형발전 예산, 경기도 교통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는 GTX 예산, 중단없이 원도심 활성화가 추진될 수 있도록 노후 신도시 재정비 예산 (확보) 등에 모든 당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협의회에는 이재명 당 대표를 비롯해 박홍근 원내대표, 박찬대·서영교 최고위원, 임종성 경기도당위원장, 김성환 정책위원회의장 의장, 우원식 예결위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경기도청에서 1시간 30분 가량 진행됐다.
도, 2023년 주요 국비 사업 7개 9254억원 확보 요청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2/09/26/20220926143703310685.jpg)
26일 오전 경기도청 4층 다목적회의실에서 열린 경기도-더불어민주당 예산정책협의회에서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염종현 경기도의회 의장 등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있다. [사진=경기도]
도는 또 △경기지역화폐 확대 발행 1904억원을 비롯해 △누리과정 차액보육료 지원 1043억원 △경기도 농민 기본소득 지원 352억원 △노인일자리 사업 국비지원 확대 2036억원 △주한미군 공여구역 주변지역 등 지원사업 684억원 △저상버스 구입비 지원 1035억원 △인덕원-동탄 복선전철 사업 2200억원 등 7개 주요 사업에 대한 국비 9254억원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해 달라고 요청했다.
한편 도는 지난달 17일 국회에서 ‘국민의힘-경기·인천 예산정책협의회’를 열고 민생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 납품단가 연동제 도입 지원, 주요 국비사업에 대한 지원 등을 건의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