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전문가기고]기후위기 시대, 슬기로운 저탄소농업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이상만 이상만 농식품부 농촌정책국장
입력 2022-12-23 06: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이상만 농식품부 농촌정책국장[사진=농림축산식품부]

지난해 요소수 품귀 사건을 계기로, 요소수가 우리 생활에 있어서 필수품이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만약 요소수가 아니라 쌀이나 밀과 같은 우리의 주식에서 이런 부족 사태가 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설마 그럴 일이?" 하며 관심 두지 않고 수수방관하기에는 피해 정도를 가늠할 수 없는 게 식량위기다. 올해만 해도 심상치 않다. 우크라이나 사태와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로 식량위기가 수면 위로 떠올랐다. 밀, 대두, 옥수수 등 국제곡물 가격은 평년 대비 약 60∼80%가 올랐다. 더구나 이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보기 어렵다. 지구온난화의 영향일 수 있기 때문이다.

지구온난화로 대표되는 기후위기는 인류 생존과 직결되기에 전 세계가 힘을 모아 대응하고 있다. 그 핵심은 2050년까지 인간의 인위적 활동으로 배출되는 온실가스 배출량의 순배출을 제로로 해 2100년까지 지구 평균온도 상승을 산업혁명 대비 1.5℃ 미만으로 제한하자는 것이다. 이는 기후변화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농업의 지속성을 위한 필수적인 조치이기도 하다.

그런데 농업은 벼 생산, 가축사육 등 식량생산 과정에서 불가피하게 메탄과 아산화질소 등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산업이다. 농업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중 하나인 메탄은 전체 지구온난화의 약 30%, 즉 기온 0.5℃ 상승의 원인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는 메탄 전체 배출량의 43%가 농업에서 발생한다.

국제사회는 메탄 감축 협력방안 모색을 위해 지난해 11월 국제메탄서약을 출범시켰으며, 이에 가입한 우리나라가 농업에서 감축해야 할 온실가스는 2030년까지 약 250만톤이다.

단순히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해서는 벼 생산과 가축사육을 줄이면 되지만, 이는 우리 국민의 생존에 직결되는 식량안보를 해치는 일이 된다. 반대로 식량안보를 위해 벼 생산과 가축사육을 늘리면 온실가스는 더 많이 배출된다. 농업계는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면서 식량안보를 확보하는 상반되는 일을 해 나가야 하는 상황인 것이다. 지금까지의 관행 농법으론 해결하기 어려운, 그야말로 난제다.

다른 나라도 우리와 다를 바 없다. 기후 위기에 슬기롭게 대처하면서 식량안보도 확보해야 하는 난제를 풀기 위해, 전 세계 주요국이 많은 연구와 노력을 해왔다. 그 결과물이 탄생했는데, 바로 저탄소농업이다. 저탄소농업이란 농업, 축산에서의 탄소배출을 줄이고 대기 중의 탄소를 토양이나 식물체로 흡수를 촉진하는 농업이다.

2021년 12월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한 2050 농식품 탄소중립 추진전략에 ‘지구온난화에 영향을 미치는 탄소를 줄이는 농업으로 구조 전환’의 요지는 관행농업을 저탄소농업으로 바꾸자는 것이다.

추진전략에 따르면 비료나 농약 사용량을 줄이는 스마트 농업이나 환경친화 농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탄소가 적게 발생하는 영농과 가축 사양관리도 확대된다. 즉, 관행농업에서 저탄소농업으로의 구조전환이다.

농식품의 생산부터 유통·소비 단계를 줄여 수송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줄이는 로컬푸드 확대와, 화석에너지 사용을 줄이고 농촌의 에너지 자립을 위한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에 대한 사항도 담겨 있다.

기후위기가 초래한 식량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농업계의 숙제는 결코 가볍지 않다. 유일한 해결방법은 농업인, 정부, 학계 등이 같이 지혜를 모아 저탄소 농업을 실천하는 길뿐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