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유플러스가 중대재해 발생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개발한 '스마트 안전장구'의 사용성을 높이고, 산업안전 솔루션 시장에서의 점유율 확대에 본격 나선다고 7일 밝혔다. LG유플러스 임직원이 스마트 안전장구를 시연하고 있다.[사진=LG유플러스]
스마트 안전장구는 중대재해 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LG유플러스와 현대엘리베이터가 공동으로 지난해 1월부터 개발한 솔루션이다. 안전모·안전고리·안전벨트 등 고소 작업자를 위한 사물인터넷(IoT) 장비 3종, 비콘 센서, 작업자용 앱, 관제 플랫폼 등으로 구성된다.
빅데이터 기반 기계학습 기술을 적용해,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 작업할 때 안전모 턱끈이나 안전고리를 체결했는지 자동 점검하고, 미체결 시 작업자에게 알려 추락 사고를 예방한다. 현대엘리베이터는 지난해 10월부터 자사의 현장 설치 근로자 전원에게 안전장구를 보급해 사고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약 3개월 동안 스마트 안전장구를 직접 착용하고 설치 작업을 해 온 현대엘리베이터 근로자의 사용자 경험을 토대로 성능을 고도화하고 사용 편의성을 강화했다.
이밖에도 다양한 연령대 근로자도 쉽게 스마트 안전장구를 활용할 수 있도록 앱 화면 배치와 사용자 경험도 개선했다. 여기에 작업자 사용 가이드 영상, 대고객용 사용자 매뉴얼 등도 추가 제작했다.
LG유플러스는 이러한 사용성 개선을 토대로 올해 스마트 안전장구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지난해 한국건설안전박람회 등 다수의 전시회에 참여해 스마트 안전장구를 선보여 왔으며, 고소 작업이 필요한 구조물 관리, 자동화 로봇 설비, 버킷 차량 작업 등 다양한 분야 고객사와 사업 계약을 논의 중이다.
전승훈 LG유플러스 스마트인프라사업담당은 "현대엘리베이터 설치 작업 현장에서 근로자들이 손쉽게 스마트 안전장구를 사용하고, 안전한 환경이 조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다양한 산업에서 스마트 안전장구를 도입할 수 있도록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중대재해 예방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