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천시 금호강 둔치변에 조성된 수변공원[사진=김규남 기자]
금호강은 낙동강의 가장 큰 지류 중의 하나로 옛부터 영천시민들에게 농업용수, 식수를 제공하는 친근한 강이었다.
또한 금호강은 과거 수해의 대명사로 여겨진 아픈 기억이 있는 강이다. 태풍 및 홍수 때에는 강이 범람해 많은 피해가 발생해 원망의 강이기도 했다. 특히 1959년에 발생한 태풍 사라호의 영향으로 큰 범람을 해 영천시에 큰 타격을 주기도 했다.
금호강은 근대화의 바람이 본격적으로 불기 시작한 1970년대부터 본격적인 치수사업을 거치며 범람의 위험은 줄어들었으나 강변의 환경은 열악했다.

영천시가 금호강 둔지에 조성한 수변공원에 옛 추억을 소환하는 청보리밭을 조성해 찾는이로 하여금 추억에 잠기게 하고 있다[사진=김규남 기자]
그 결과 잡초와 갈대만 무성하던 금호강 둔치는 온갖 꽃과 시원한 나무그늘이 공존하고 시에서 설치한 체육시설에서 운동을 하며, 황토 산책길에서 맨발로 사색하며 걷는 즐거움도 느낄 수 있게 됐다. 잘 닦여진 자전거전용도로를 이용해 하이킹을 즐길 수 있는 ‘복합레져공간’으로도 자리매김했다.

영천시가 금호강 둔치 수변공원에 설치한 맨발 황토 산책길 모습. [사진=김규남 기자]
영천시는 현재까지의 성과에 만족 하지않고 지속적으로 금호강 둔치의 공원화 작업에 박차를 가해 공원화 면을 더욱더 넓혀나갈 계획을 갖고 있다.
영천시 망정동에 사는 시민 Y씨는 “대구에 살다가 이사 온 지 2년이 됐는데 영천의 생활 환경이 너무 좋다. 잘 정비된 공원과 볼거리가 풍부한 정말 좋은 도시다. 영천으로 이사오길 정말 잘 했다”고 말했다.

영천시가 금호강 둔지 수변공원에 비치한 쓰레기봉투, 타 지자체에서 볼 수 없는 배려의 마음을 엿 볼수 있다[사진=김규남 기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