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월말 기준, 242개 기관에서 707억원의 불요불급한 자산 매각과 4만573㎡의 청사 정비, 3개의 출자회사 정비를 완료하고, 347건의 복리후생제도를 정비하는 등 소기의 성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공공기관의 '재무건전성 분야 혁신'은 행정안전부가 배포한 '지방공공기관 혁신 가이드라인(’22.9)', '복리후생제도 혁신 가이드라인(’22.9)'에 따라 지방공공기관이 자율적으로 추진 중이며, 제1차 지방공기업정책위원회(’23.3)에 추진계획을 보고한 바 있다.
자산건전화 분야에서는 정비대상(’22~’27년) 1129건 중 468건(41.5%)의 정비를 완료해 약 724억원의 유동성을 확보하고, 연간 56억원의 임대 수입 증가와 임대료 절감 효과를 확보하는 등 재무건전성 강화의 가시적인 성과가 도출되었다.
자산건전화를 위해 △불요불급한 자산 정비 △공공기관 청사 정비 △출자회사 정비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했다. 서울교통공사에서 노후 전동차량 230칸을 매각해 약 47억원을 확보하는 등 22개 기관에서 409건의 불요불급한 자산을 매각하여 약 707억원의 유동성을 확보했다.
사례로 인천도시공사는 사택 운영비 지원 폐지, 대학 장학금 지급기준 합리화, 주택자금 지원 요건 강화를 통해 연간 1800만원의 예산을 절감했다.
행정안전부는 자산건전화 분야 정비과제가 2027년까지, 복리후생 분야 정비과제가 2024년까지 조속히 완료되고, 신규과제가 추가 발굴될 수 있도록 지자체, 지방공공기관을 지원하고, 지방공공기관 '재무건전성 분야 혁신'이 전국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우수기관에 경영평가 가점을 부여하고, 우수사례를 발굴·공유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