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미국 국채 금리 급등에 국내 국고채 금리도 덩달아 큰 폭으로 오르면서 가계의 이자 부담과 기업의 자금난을 초래하고 있다. 한은 통화정책 효과가 반감될 수밖에 없다는 평가다.
18일(현지시간) 미국 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웹에 따르면 글로벌 채권 금리의 벤치마크 역할을 하는 10년물 미국 국채 금리는 4.9%를 넘어섰다.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인 2007년 7월 이후 16년 만이다.
같은 날 통화정책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미국 2년물 국채 금리도 5.25%에서 고점을 형성해 2006년 이후 최고치를 보였다.
한·미 채권 금리는 동조화 경향이 강해 우리나라 국고채 금리도 장기물 위주로 상승세가 가파르다. 실제 국고채 금리는 장기물 위주로 금리가 상승하며 수익률 곡선이 더욱 가팔라졌다. 전날(18일) 서울 채권시장에서 국고 2년물 금리는 전거래일 대비 3.0bp(1bp=0.01%포인트) 오른 3.966%에 거래를 마쳤다. 3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4.0bp 오른 4.031%, 5년물은 전거래일 대비 5.9bp 오른 4.151%를 기록했다.
장기채도 마찬가지다. 10년물은 6.3bp 오른 4.287%를 기록했고 20년물은 4.4bp 오른 4.228%, 30년물은 3.9bp 오른 4.204%로 마감했다.
한은이 고심 끝에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 그와 별개로 채권시장 금리가 요동치는 상황이다. 국고채 금리가 오르면 그보다 신용도가 낮은 회사채 금리도 따라 오른다. 기업들의 자금 조달 부담이 커지게 된다.
또 국고채 3년물 등 지표 금리가 상승하면 은행 대출 금리도 덩달아 오름세를 보인다. 이미 17일부터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주담대)출 금리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 변동에 따라 신규 주담대 변동금리가 상향 조정되고 있다. 은행은 '비용'에 해당하는 코픽스 금리에 가산금리를 더해 주담대 변동금리를 매긴다.
가계의 이자 부담도 가중될 전망이다. 지난 2분기 가계가 이자비용으로 지출한 금액은 월평균 13만1000원으로 2006년 이후 분기 기준 최대였다. 지난 2분기 월평균 소득(479만3000원)에서 차지하는 비중(2.7%)도 역대 최대다.
미국 국채 금리 상승세는 상당 기간 이어질 공산이 크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은 국채 금리를 포함한 채권시장 변동성이 당분간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국내 기업·가계 살림도 더 궁지로 내몰릴 수밖에 없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