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1일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강원도청에서 열린 열아홉 번째 민생토론회 '민생을 행복하게, 강원의 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보고했다.
강원도 춘천시에 의료·바이오를 중심으로 주요 IT(정보기술) 기업이 한데 모이는 기업혁신파크'가 조성된다. 국토교통부는 이날 춘천 기업혁신파크 선도사업 선정 결과를 발표했다.
춘천 남산면 광판리 일대에 368만㎡ 규모로 조성되는 기업혁신파크는 해당 지역에 본사를 둔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인 더존비즈온이 앵커기업으로 참여한다. 지난해 9월 기업혁신파크 선도사업 공모 당시 춘천시와 공동으로 사업을 제안했다.
국토부는 춘천 기업혁신파크 조성을 위해 3월 말부터 전문가 컨설팅을 통해 기업 입주수요 분석 등 개발계획 수립을 지원할 예정이다. 춘천시와 더존비즈온이 2025년까지 개발계획을 수립한 뒤 개발지구 지정과 계획 승인을 신청하면 국토부는 도시개발위원회 통합심의 등 행정 절차를 진행한다.
기업혁신파크에 설치되는 진입도로, 공공폐수처리시설에 대한 국비 지원, 기회발전특구, 지역활성화 투자 펀드 활용 등의 혜택도 지원된다. 정부는 춘천 기업혁신파크 조성이 마무리되면 4만명 이상의 일자리를 비롯해 6조원 이상의 경제효과가 창출될 것으로 보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는 강원도와 ‘보건의료 데이터’ 글로벌 혁신 특구를 조성한다. 이를 위해 △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조성 △(인공지능(AI) 헬스케어 제품을 활용한 분산형 임상 지원 △글로벌 인증 기관의 협력 등을 추진한다.
특히 ‘지역특구법’에 근거해 글로벌 스탠더드로 기준 정비, 해외 진출을 위한 현지 실증, 해외 인증, 글로벌 협력 연구개발(R&D) 등을 지원한다. 강원특별자치도에서는 바이오 분야 혁신 산업생태계를 근간으로 하는 딥 테크 유니콘기업을 만들어내는 것이 목표다.
‘글로벌 혁신 특구’는 첨단 분야 신제품·서비스 개발 및 해외 진출을 위해 네거티브 규제와 실증·인증·허가·보험 등 글로벌 스탠더드가 적용되는 한국형 혁신 클러스터다. 중기부는 지난해 12월 강원특별자치도(보건의료데이터), 부산광역시(차세대 해양모빌리티), 충청북도(첨단재생바이오), 전라남도(에너지 신산업) 4곳을 최종 후보지역으로 선정했다.
글로벌 혁신 특구에는 국내 처음으로 네거티브 규제 방식을 도입했다. 명시적인 제한과 금지 사항 외 모든 실증이 허용된다. 미래 기술 분야 신제품 개발과 해외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조치다.
환경부는 춘천시 동면에 3600억원을 투입해 81만6000㎡ 규모 수열에너지 클러스터를 조성하기로 했다. 소양강댐의 차가운 심층수를 활용해 데이터센터의 냉방과 스마트팜 첨단농업단지의 난방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또 환경부는 강릉시 연곡면에 지하수를 모으는 지하 저류댐 설치를 추진한다. 이번 지하수저류댐으로 주민 3만6000명이 함께 사용가능한 1만8000㎥/일 규모의 생활용수를 공급할 예정이다. 2027년 완공을 목표로 올해 설계에 착수한다.
올해 강릉 연곡면 등 7곳 설계, 양평 양동면 등 3곳 시공에 착수하고, 향후 지하수저류댐 설치를 전국으로 대폭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태백시 등 폐광지역에 적치된 '경석'을 순환자원으로 지정해 폐기물 규제를 적용하지 않는 방안도 추진한다.
석탄 폐경석은 그간 ‘폐기물관리법’에 따른 폐기물로 분류돼 재활용을 위한 운반·수집 등에 제약이 따랐다. 경석은 석탄을 채굴하거나 선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데, 세라믹이나 단열소재로 활용할 수 있어 자원으로 볼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많았다.
지난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강원 동해·삼척 수소 저장·운송 클러스터가 올해부터 본격 추진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수소산업 육성 일환으로 수소의 생산·유통·활용 전 단계에서 지역별 특화 클러스터를 만들기로 했다.
정부는 올해부터 5년간 민관 공동으로 3177억원을 투입해 강원 동해, 삼척 일원에 액화수소 기자재 산업 육성 지원 시설과 액화수소 생산설비를 구축한다. 올해는 총 69억원의 예산이 반영돼 부지 매입과 장비설계 비용으로 쓰일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