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R, 2028년까지 AI 활용 헬스케어 소재 검증 인프라 구축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최예지 기자
입력 2024-05-22 10:02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이 전라남도, 화순군과 2028년까지 인공지능(AI) 활용 의약품 안전성 평가 등 디지털 기반 헬스케어 소재 검증 인프라를 구축하기로 했다.

    KTR는 산업통상자원부의 2024년도 산업혁신기반구축사업 공모에서 '디지털 전환 기반 바이오헬스 소재, 기기 유효성·안전성 검증을 위한 지능형 플랫폼 기반구축' 사업이 선정됐다고 22일 밝혔다.

    이에 따라 KTR은 사업 주관기관으로서 오는 2028년 12월까지 5년에 걸쳐 △인공지능(AI)·빅데이터를 활용한 바이오헬스케어 소재의 안전성, 유효성 예측 플랫폼 개발 △디지털 병리 고속 판독시스템 운영을 통한 기술지원 시스템 구축 △오가노이드(장기 유사체) 첨단대체시험법 구축 △AI 기반 전주기 지원 통합 플랫폼·데이터베이스(DB) 구축 등을 수행한다.

  • 글자크기 설정
  • 전남 화순에 디지털 기반 헬스케어연구소 조성

디지털 기반 바이오헬스 소재 검증 플랫폼 기반구축을 추진중인 KTR 화순 헬스케어연구소 전경사진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디지털 기반 바이오헬스 소재 검증 플랫폼 기반구축을 추진중인 KTR 화순 헬스케어연구소 전경[사진=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이 전라남도, 화순군과 2028년까지 인공지능(AI) 활용 의약품 안전성 평가 등 디지털 기반 헬스케어 소재 검증 인프라를 구축하기로 했다. 

KTR는 산업통상자원부의 2024년도 산업혁신기반구축사업 공모에서 '디지털 전환 기반 바이오헬스 소재, 기기 유효성·안전성 검증을 위한 지능형 플랫폼 기반구축' 사업이 선정됐다고 22일 밝혔다.
 
이에 따라 KTR은 사업 주관기관으로서 오는 2028년 12월까지 5년에 걸쳐 △인공지능(AI)·빅데이터를 활용한 바이오헬스케어 소재의 안전성, 유효성 예측 플랫폼 개발 △디지털 병리 고속 판독시스템 운영을 통한 기술지원 시스템 구축 △오가노이드(장기 유사체) 첨단대체시험법 구축 △AI 기반 전주기 지원 통합 플랫폼·데이터베이스(DB) 구축 등을 수행한다.
 
기반 구축에는 국비 100억원을 포함해 총 148억원이 투입된다. 구체적으로 전남도와 화순군이 각각 6억원, 14억원을, KTR과 참여기관도 각각 25억원, 3억원을 투입한다. 
 
KTR은 특히 전남 화순에 바이오헬스케어 예측 플랫폼인 AI 특화 실증센터를 구축해 기업의 바이오헬스케어 소재 개발에서 상용화까지 전주기 원스톱 실증 특화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실증센터는 의약품, 의료기기, 화장품 등 바이오헬스케어 소재에 대한 △안전성 유효성 예측 모델 개발 △동등성 검증·실증화 △소재 개발 고속 스크리닝 △소재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을 수행한다. 신약 개발 등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검하고 시간도 단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KTR이 기대했다.  
 
아울러 KTR은 화순 동물대체센터의 동물 대체시험 인프라와 이번 기반구축사업을 연계해 디지털 기술이 접목된 오가노이드 기반 첨단 대체 시험 개발·비임상평가 서비스 확대를 모색한다.
 
KTR과 전남도, 화순군은 이번 기반구축 사업을 화순 백신산업특구의 바이오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과 첨단의료복합단지 조성 등 전남 바이오산업 육성 사업과 연계, 시너지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김현철 KTR 원장은 "이번 사업 선정으로 AI 등 디지털 기술을 통해 의약품, 의료기기, 바이오 소재의 효능과 안전성을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검증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게 됐다"며 "KTR은 기존 헬스케어 시험인증 인프라와 연계해 국가 핵심과제인 바이오 융합 혁신산업 육성을 적극 돕고 전남의 첨단 바이오 산업 발전을 앞당길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