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곤 KB운용 전무 "AI·자산운용 결합, 시장 혁신하고 신뢰 높일 것"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최연재 기자
입력 2024-05-22 18:12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김홍곤 KB자산운용 전무는 22일 한국인공지능퀀트전문가협회(KAIQA)·블룸버그·한국경영정보학회(KMIS)가 공동 주최한 AI 퀀트&디지털 콘퍼런스에서 이같이 말했다.

    축사를 맡은 김영성 KB자산운용 대표도 "AI는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데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다"며 "AI 기술을 통해 맞춤형 종목을 투자자들에게 추천한다면 초개인화적인 금융상품 개발로 자산운용 업계에 큰 변화를 초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콘퍼런스는 △AI와 금융 예측 △디지털 금융시대 금융권 내부 통제와 리스크관리 △AI거버넌스의 패러다임 변화 △최신 강화 학습 알고리즘으로 개발된 자본시장솔루션의 AI모델 구조와 성능 △NLP를 활용한 다이렉트 인덱싱 포트폴리오 생성전략 △AI 와 머신러닝을 활용한 거시경제 예측과 투자전략 △CBDC와 AI가 중앙은행 통화정책과 금융업무에 가져올 변화 △금융권의 AI활용 트렌드 & 클라우드 기반 분석 플랫폼 BQuant를 주제로 한 전문가 발표로 진행됐다.

  • 글자크기 설정
  • "AI 활용, 금융 포용성 높이는 데 중요…중앙은행 디지털화폐 발행·관리·운영 필수 기술"

사진한국인공지능퀀트전문가협회KAIQA 로고
사진=한국인공지능퀀트전문가협회(KAIQA) 로고

“인공지능(AI) 기술이 국내 자본시장과 자산운용에 대한 신뢰와 기대를 높이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본다.”
 
김홍곤 KB자산운용 전무는 22일 한국인공지능퀀트전문가협회(KAIQA)·블룸버그·한국경영정보학회(KMIS)가 공동 주최한 AI 퀀트&디지털 콘퍼런스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날 콘퍼런스는 ‘초거대 AI 자산운용의 미래’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한국AI 퀀트전문가 협회장을 맡고 있는 김 전무는 “AI 기술이 자본시장과 자산운용에 어떻게 활용되는지 논의하기 위해 이 자리에 모였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는 “자연어처리(NLP)를 활용한 테마 포트폴리오를 자동으로 구성해 투자자들에게 맞춤형 종목 추천을 제공하는 혁신이 열릴 것”으로 전망했다.
 
AI와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의 결합에 대해서는 “CBDC는 금융 시스템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고 국제 결제를 효율화한다”며 “금융 포용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측했다. 그러면서 그는 “AI가 CBDC의 발행, 관리 운영에 필수 기술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디지털 금융시대에 맞춰 금융권 내부 통제와 리스크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김 전무는 “AI와 레그테크(Reg Tech)의 활용을 통해 금융사고를 예방하고,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향이 있어야 한다”며 “AI 기술을 통해 금융 기관들이 더 신뢰할 수 있고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축사를 맡은 김영성 KB자산운용 대표도 “AI는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데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다”며 “AI 기술을 통해 맞춤형 종목을 투자자들에게 추천한다면 초개인화적인 금융상품 개발로 자산운용 업계에 큰 변화를 초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콘퍼런스는 △AI와 금융 예측 △디지털 금융시대 금융권 내부 통제와 리스크관리 △AI거버넌스의 패러다임 변화 △최신 강화 학습 알고리즘으로 개발된 자본시장솔루션의 AI모델 구조와 성능 △NLP를 활용한 다이렉트 인덱싱 포트폴리오 생성전략 △AI 와 머신러닝을 활용한 거시경제 예측과 투자전략 △CBDC와 AI가 중앙은행 통화정책과 금융업무에 가져올 변화 △금융권의 AI활용 트렌드 & 클라우드 기반 분석 플랫폼 BQuant를 주제로 한 전문가 발표로 진행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