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유공자 최고 예우로 보답…北위협 좌시하지 않을 것"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정해훈 기자
입력 2024-06-06 11:11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현충일인 6일 "보훈 의료 혁신을 통해 국가유공자 의료 서비스를 개선하고, 재활 지원을 확대해 임무 중 부상을 당한 분들이 일상을 되찾을 수 있도록 세심하게 돕겠다"며 "안타깝게 순직하신 영웅들의 유가족은 무슨 일이 있어도 국가가 끝까지 책임지겠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1월 경북 문경시에서 발생한 화재 사고로 순직한 고(故) 김수광 소방장과 고 박수훈 소방교의 유족 등 4명에게 국가유공자 증서를 수여하면서 희생과 헌신에 감사를 표했다.

    올해 추념식은 국가유공자와 유족, 정부 주요 인사, 국회의원, 군 주요 직위자, 중앙보훈단체장, 일반 시민 등 5000여 명이 참석해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의 명복을 빌었다.

  • 글자크기 설정
  • 제69회 현충일 추념사서 "국가가 끝까지 책임"

  • "압도적으로 도발 대응…국민 자유 지키겠다"

윤석열 대통령이 6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9회 현충일 추념식에서 추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6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9회 현충일 추념식에서 추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현충일인 6일 "보훈 의료 혁신을 통해 국가유공자 의료 서비스를 개선하고, 재활 지원을 확대해 임무 중 부상을 당한 분들이 일상을 되찾을 수 있도록 세심하게 돕겠다"며 "안타깝게 순직하신 영웅들의 유가족은 무슨 일이 있어도 국가가 끝까지 책임지겠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10시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제69회 현충일 추념식에 참석해 "자신의 모든 것을 희생한 영웅들을 최고의 예우로 보답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또 "영웅의 자녀들이 자부심과 긍지를 갖고 성장할 수 있도록 국가가 따뜻한 가족이 되겠다"며 "작년에 시작된 '히어로즈 패밀리' 프로그램을 더 확장해 한 자녀, 한 자녀를 내 아이들처럼 꼼꼼하게 보살필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날 윤 대통령의 추념사에는 호국 영웅들을 향한 경의, 유가족에 대한 위로와 감사의 메시지도 담겼다. 이에 대해 "우리의 지난 70년은 그 자체로 기적의 역사"라며 "바로 그 토대에는 위대한 영웅들의 헌신이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권을 되찾기 위해 목숨을 바치신 순국선열들, 공산 세력의 침략에 장렬히 맞서 자유민주주의를 지켜주신 호국영령들, 온몸을 던져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킨 제복 입은 영웅들, 그리고 대한민국의 자유를 수호하기 위해 함께 싸워주신 유엔군 참전용사들, 이 모든 영웅들께 머리 숙여 경의를 표하며, 슬픔을 안고 살아오신 유가족 여러분께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전했다. 

윤 대통령은 "북한 정권은 역사의 진보를 거부하고 퇴행의 길을 걸으며, 우리의 삶을 위협하고 있다"며 "정부는 이러한 북한의 위협을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아울러 "철통 같은 대비 태세를 유지하며, 단호하고 압도적으로 도발에 대응해 나갈 것"이라며 "한층 더 강해진 한·미 동맹과 국제 사회와의 협력을 토대로 국민의 자유와 안전을 단단히 지키겠다"고도 부연했다.

이어 "도전과 혁신으로 도약하는 나라, 민생이 풍요롭고 국민이 행복한 나라, 청년의 꿈과 희망이 넘치는 나라, 온 국민이 하나 돼 함께 미래로 나아가는 더 강한 대한민국을 건설하겠다"며 "이것이야말로 영웅들의 희생과 헌신을 기억하고, 그 큰 뜻에 보답하는 길이라 믿는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지난 1월 경북 문경시에서 발생한 화재 사고로 순직한 고(故) 김수광 소방장과 고 박수훈 소방교의 유족 등 4명에게 국가유공자 증서를 수여하면서 희생과 헌신에 감사를 표했다.

올해 추념식은 국가유공자와 유족, 정부 주요 인사, 국회의원, 군 주요 직위자, 중앙보훈단체장, 일반 시민 등 5000여 명이 참석해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의 명복을 빌었다. 특히 국가유공자 후손과 군인, 경찰, 소방관 등 제복 근무자가 직접 주요 식순에 참여해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 

3대째 군 복무를 하고 있는 성진제 해군 소위(조부 6·25 참전용사, 부친 공군 중위 전역)가 '국기에 대한 맹세'를 낭독했고, 현역 군인으로 복무 중인 국가유공자 후손들과 현직 경찰·소방관이 선도 제창자로 애국가 제창에 참여했다. '전우에게 전하는 편지' 낭독 순서에서는 백마고지 전투에 참전했던 6·25 참전유공자 이승초씨가 직접 작성한 편지를 백마고지 전투 참전용사(박명호 님)의 손자 박희준 육군 중사가 읽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