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인 배당 확대에 4월 경상수지 1년 만에 적자 전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서민지 기자
입력 2024-06-11 08:00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표=한국은행] 11개월째 흑자 릴레이를 이어가던 경상수지가 1년 만에 적자 전환했다.

    여행 수지의 경우 동남아·중국 관광객을 중심으로 여행수입이 확대되면서 8억2000만 달러를 적자를 기록해 전월 대비 적자폭이 축소됐다.

    지재권 수지 역시 특허권 사용료 수입이 늘어난 반면 지급은 줄면서 3억1000만 달러 적자로 집계돼 적자폭이 전월보다 줄었다.

  • 글자크기 설정
  • 한국은행, 4월 국제수지 발표

  • 수입 14개월 만에 증가 전환 영향

표한국은행
[표=한국은행]
11개월째 흑자 릴레이를 이어가던 경상수지가 1년 만에 적자 전환했다. 외국인에 대한 국내 기업들의 배당금 지급이 이뤄지는 계절적 요인이 반영되면서다.

1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국제수지(잠정)'에 따르면 4월 우리나라 경상수지는 2억9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상품·서비스 등의 수출과 수입의 차이를 뜻하는 경상수지는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본원소득수지 △이전소득수지 등으로 구성된다.

상품수지는 51억1000만달러 흑자를 나타냈다. 13개월 연속 흑자다. 전월(80억9000만달러) 대비 흑자폭은 줄었다. 

수출이 581억7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8.0% 증가했다. 반도체 호조는 물론 석유제품 등 주요 비IT 품목도 대부분 증가해 7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4월 통관수출 기준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54.5%) △석유제품(18.7%) △정보통신기기(16.7%) △승용차(11.4%) △기계류·정밀기기(7.9%) △화공품(1.9%)을 기록했다. 지역별로는 △동남아(26.1%) △미국 (24.3%) △일본(18.4%%) △중국(9.9%) △EU(-7.1%)로 나타났다.  

수입은 530억6000만 달러로 9.0% 증가해 51억1000만 달러 흑자를 나타냈다. 원자재, 자본재, 소비재 모두 증가하면서 14개월 만에 수입이 증가 전환한 영향이다. 

구체적으로 원자재, 자본재, 소비재는 각각 5.5%, 3.7%, 8.4% 올랐다. 원자재 중에선 △석유제품(23.3%) △가스(21.9%) △원유(17.8%) 등 국제유가 상승에 따라 급등세를 보였다.  

자본재 중에서는 △반도체(20.2%) △정보통신기기(11.8%) △수송장비(15.4%) 등을 기록했다. 소비재는 △가전제품(26.3%) △직접소비재(5.0%) 등이 올랐다. 

서비스수지는 여행, 가공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16억6000만 달러 적자를 냈다. 여행 수지의 경우 동남아·중국 관광객을 중심으로 여행수입이 확대되면서 8억2000만 달러를 적자를 기록해 전월 대비 적자폭이 축소됐다. 지재권 수지 역시 특허권 사용료 수입이 늘어난 반면 지급은 줄면서 3억1000만 달러 적자로 집계돼 적자폭이 전월보다 줄었다.

본원소득수지는 배당소득수지(-35억8000만 달러)를 중심으로 33억7000만 달러 적자를 나타냈다. 한은 경제통계국은 "대규모 외국인 배당지급에 따른 계절적 요인으로 적자 전환했다"고 설명했다. 

이전소득수지는 3억6000만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