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겸, MBC 상대 손해배상 소송 2심도 패소…"해임에 정당한 이유 인정된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권규홍 기자
입력 2024-06-23 15:21
    도구모음
  • AI 기사요약
  • * AI기술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전체 맥락과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보시길 권장합니다

    법원이 MBC 사장을 지낸 김장겸 국민의힘 의원이 2017년 사측의 해임 처분이 부당하다며 제기한 소송의 2심에서도 사측 손을 들어줬다.

    이어 재판부는 최근 김 의원 등의 형사 사건에서 유죄가 확정된 점을 주요 근거로 들며 "피고로서는 고의로 부당노동행위를 자행한 원고들에 대해 해임을 결의함이 타당했다"며 사측 손을 들어줬다.

    앞서 김 의원은 2017년 2월 28일 임기 3년인 MBC 사장으로 취임했으나 노동조합 활동을 방해하는 등 부당노동행위 논란을 일으켰다.

  • 글자크기 설정
  • "김장겸, 방송의 공정성·공익성 훼손, 부당노동행위, 장기간 방송 파행 등을 이유로 원고들을 해임"

  • 김장겸, 2017년 MBC 사장 취임 뒤 부당노동행위 논란 일으켜...11월 해임

  • 김장겸, 1987년 MBC 입사 뒤 기자로 활동...2017년 사장 취임 뒤 22대 국회의원 당선

국민의힘 김장겸 의원 사진연합뉴스
국민의힘 김장겸 의원 [사진=연합뉴스]
법원이 MBC 사장을 지낸 김장겸 국민의힘 의원이 2017년 사측의 해임 처분이 부당하다며 제기한 소송의 2심에서도 사측 손을 들어줬다.

23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고법 민사1-2부(이양희·이은혜·이준영 부장판사)는 김 의원과 최기화 EBS 감사가 MBC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 청구 소송에서 지난 19일 1심과 같은 원고 패소 판결을 내렸다. 

재판부는 "피고(MBC)가 방송의 공정성·공익성 훼손, 보도 신뢰도 및 사회적 영향력 하락, 부당노동행위, 조직관리 및 운영 능력 상실, 총파업에 따른 장기간 방송 파행 등을 이유로 원고들을 해임했다"며 "이 사건 각 해임에 정당한 이유가 인정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재판부는 최근 김 의원 등의 형사 사건에서 유죄가 확정된 점을 주요 근거로 들며 "피고로서는 고의로 부당노동행위를 자행한 원고들에 대해 해임을 결의함이 타당했다"며 사측 손을 들어줬다.

앞서 김 의원은 2017년 2월 28일 임기 3년인 MBC 사장으로 취임했으나 노동조합 활동을 방해하는 등 부당노동행위 논란을 일으켰다. 급기야 MBC 노조는 같은 해 9월 총파업에 돌입했고 김 의원은 11월 13일 사측에 의해 해임됐다. 최 감사는 당시 MBC 기획본부장으로 재직했다.

이듬해 3월 김 의원과 최 감사는 해임이 부당하다며 MBC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 이들은 해고 자체가 불법이므로 남은 임기를 채웠다면 받을 수 있었을 급여와 퇴직금을 달라는 취지로 소장을 제출했다. 

그러나 1심 법원은 해임이 타당하므로 손해배상 청구도 이유 없다며 전부 기각했고 이들은 즉각 불복해 항소했다.

앞서 2017년에 김 의원이 사장으로 취임한 뒤 부당노동행위 문제가 불거지자 고용노동부 서울서부지청은 MBC에 대한 특별 근로감독을 실시했고, 검찰은 2018년 1월 김 의원을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겼다.

그는 작년 10월 대법원에서 징역 8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았다. 김 의원은 MBC 제1노조 조합원 9명을 MBC 본사 밖 외곽으로 격리하고자 신사업개발센터와 뉴미디어포맷개발센터 등으로 부당 전보한 혐의 등에 대한 유죄가 인정됐다.

김 의원은 1987년 11월 MBC 공채 기자로 입사한 뒤 사회부, 스포츠취재부, 국제부, 정치부 등에서 기자 생활을 했고, 2003년에 차장, 2013년에 보도국장, 2015년에 보도본부장이 됐다. 김 의원은 2017년 2월 안광한 사장 임기가 끝나가자 MBC 사장 공모에 나섰고 사장에 선출됐다. 

다만 금고 이상 형을 선고받으면 형이 실효되기 전까지 선거에 출마할 수 없지만 김 의원은 지난 2월 설 명절을 앞두고 사면받으면서 피선거권을 회복했고 이후 총선에서 국민의힘 비례대표 후보로 나서 당선돼 22대 국회의원이 됐다. 

이날 판결 직후 김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상고 의사를 밝혔다.

김 의원은 "문재인 정권은 신속히 특별근로감독을 실시하고 취임한지 6개월도 안 된 저를 부당노동행위 혐의로 조사했다. '뭘로 엮을까' 찾은 것"이라며 "민주당과 민노총 언론노조는 방송3법을 통과시켜 ‘공영방송 영구장악’을 획책하고 있다. 2017년 민주당이 작성하고 실행된 '방송장악문건'을 완결하는 작업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