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미중 갈등, 러우 전쟁, 중동 분쟁과 같은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해 수출기업들의 경영 불안이 커지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최태원 회장)가 국내 수출제조업 448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지정학적 리스크 장기화 영향과 대응 실태조사’에 따르면, 기업의 66.3%가 미중 갈등, 러우 전쟁 등 지정학적 리스크를 경영 위험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23.7%는 이를 '사업 경쟁력 저하' 수준으로 평가했으며, 3.1%는 ‘사업 존속을 위협하는 수준’으로 우려를 나타냈다. 반면 32.6%의 기업은 '큰 영향 없음'으로, 0.7%는 '반사이익', 0.4%는 '새로운 기회 요인'으로 평가했다.
지난해 9월 547억달러였던 수출이 2024년 9월에는 588억달러로 12개월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으나, 글로벌 시장에서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확대되면서 수출기업들은 커다란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 발발 1년을 맞은 중동 사태는 주변국으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으며, 미중 갈등도 11월 미국 대선 이후 더욱 격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환율 변동·결제 지연 43.1%, 물류 차질 및 물류비 증가 37.3%
지정학적 리스크를 경영 위험으로 인식하는 기업들은 주로 ‘환율 변동·결제 지연’(43.1%)을 가장 큰 피해로 꼽았다. 이어서 ‘물류 차질 및 물류비 증가’(37.3%)가 주요 피해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해외시장 접근 제한 및 매출 감소’(32.9%), ‘에너지·원자재 조달비용 증가’(30.5%) 등도 큰 문제로 보고됐다.
주요 교역국별로는 對중국 교역기업에서 ‘해외시장 접근 제한 및 매출 감소’(30.0%) 피해가 가장 컸다. 이는 미중 갈등으로 인해 대중국 수출이 급격히 감소한 결과로 풀이된다. 미국과 러시아 교역기업들은 ‘환율 변동·결제 지연’으로 인한 피해가 컸는데, 특히 러·우 전쟁으로 러시아와 거래하는 기업들이 금융 제재로 외화 송금이 중단되는 피해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EU 및 중동 교역기업들은 ‘물류 차질 및 물류비 증가’를 피해 유형으로 많이 선택했다. 중동전쟁으로 인해 홍해를 통한 운항이 중단되면서 남아프리카로 우회하는 비용 부담이 커진 것이 주요 원인이다.
수출기업들, 긴축경영 57%, 대체시장 개척 52% 우선 고려
기업들은 지정학적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확장적 전략보다는 긴축경영을 우선 고려하고 있다. 조사에 따르면, 57.8%의 기업이 ‘비용 절감 및 운영 효율성 강화’를 선택했고, 52.1%는 ‘대체시장 개척 및 사업 다각화’를 모색하고 있었다. 이는 기존 해외 시장과 사업 구조의 한계에 직면한 수출기업들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공급망 다변화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공급망 다변화 및 현지 조달 강화’(37.3%), ‘환차손 등 금융 리스크 관리’(26.7%)도 중요한 대응 방안으로 꼽혔으며, 일부 기업들은 ‘글로벌 사업 축소’(3.3%)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의 “새로운 규제 도입 신중해야, 핵심 원부자재 공급망 안정화 필요”
대한상의는 지정학적 리스크가 확대되는 상황에서 기업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수출이 우리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하고 있는 만큼, 새로운 규제를 도입하는 데 있어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동시에 주요국의 전략산업 정책 강화에 맞서 첨단산업의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중장기적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앞으로 현실화될 수 있는 지정학적 리스크에 대해 미리 경고하고, 이를 기업들이 적시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공급망 훼손이 기업 생산 차질로 이어지지 않도록 정부가 대체 조달 시장 확보와 원부자재 국산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지금의 미중 갈등, 중동 분쟁 외에도 대만해협 양안 갈등, 북한 핵 위협 등 향후 기업 경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 리스크가 상존하고 있다”며, “단기적으로는 수출 바우처 같은 정책 지원을 강화하고, 중장기적으로는 민관 협력을 통해 자원 개발과 핵심 원자재 공급망 안정화에 주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