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무보험으로서 가입자가 2000만명에 달하는 자동차보험 시장에서 보험사 손해율이 치솟고 있다. 내년 보험료 방향성을 두고 보험업계와 금융당국 사이에 눈치 싸움이 벌어질 전망이다.
23일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삼성화재·DB손해보험·현대해상·KB손해보험 등 주요 손해보험사의 지난달 자동차보험 손해율 평균은 작년 동월 대비 6.1%포인트 높은 92.4%로 집계됐다.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누계 손해율 평균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2%포인트 상승한 82.5%다.
손해율은 보험사들이 거둬들인 보험료 대비 지출한 보험금 비율을 의미한다. 사업에 필요한 각종 운영비를 제외하면 자동차보험은 손해율 80~82% 수준에서 손익분기가 이뤄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올해 자동차보험 시장에서 손보사 적자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통상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연말에 높은 수치를 기록하는데 이미 손실 구간으로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작년에도 주요 손보사 누계 손해율 평균은 10월 78.6%, 11월 79.3%, 12월 79.8% 등 상승 곡선을 그렸다.
업계에서는 손해율이 낮을 때 보험료를 내린 만큼 내년에는 보험료를 올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앞서 3년간 자동차보험료를 인하한 영향으로 보험료 수익 자체가 줄어든 게 손해율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주장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공교롭게도 올해 자동차보험 손해율 상승 폭(3.2%포인트)이 보험료 인하 폭(2.5~3.0%)과 비슷한 수준”이라며 “운영비 절감을 통한 손해율 개선은 한계가 있으므로 보험료 인상이 없다면 내년에도 상황은 비슷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자동차보험이 올해 적자를 기록하더라도 내년 보험료 인상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자동차보험료가 민생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금융당국이 작지 않은 관심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손보사들이 작년에 이어 올해도 ‘역대급’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돼 상생금융에 대한 직간접적인 압박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비상계엄 사태와 대통령 탄핵소추 등 비상시국에 금융당국이 시장 안정에 대응하느라 상대적으로 상생금융에 대한 관심이 떨어질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실제로 최근 몇 년간 보험료 인하 결정이 해를 넘기지 않았던 것과 달리 올해는 논의가 지지부진하다. 그러나 이날 은행권이 3년간 2조1000억원 규모로 상생금융에 나서겠다고 발표하면서 보험업계도 상생금융에 대한 압박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또 다른 보험업계 관계자는 “시장점유율이 낮은 보험사들은 규모의 경제가 불가능해 손실 구간에 더 빨리 진입했을 것”이라며 “보험료 인상도 인하도 쉽지 않은 상황에서 관련 논의가 동결로 마무리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23일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삼성화재·DB손해보험·현대해상·KB손해보험 등 주요 손해보험사의 지난달 자동차보험 손해율 평균은 작년 동월 대비 6.1%포인트 높은 92.4%로 집계됐다.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누계 손해율 평균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2%포인트 상승한 82.5%다.
손해율은 보험사들이 거둬들인 보험료 대비 지출한 보험금 비율을 의미한다. 사업에 필요한 각종 운영비를 제외하면 자동차보험은 손해율 80~82% 수준에서 손익분기가 이뤄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올해 자동차보험 시장에서 손보사 적자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통상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연말에 높은 수치를 기록하는데 이미 손실 구간으로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작년에도 주요 손보사 누계 손해율 평균은 10월 78.6%, 11월 79.3%, 12월 79.8% 등 상승 곡선을 그렸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공교롭게도 올해 자동차보험 손해율 상승 폭(3.2%포인트)이 보험료 인하 폭(2.5~3.0%)과 비슷한 수준”이라며 “운영비 절감을 통한 손해율 개선은 한계가 있으므로 보험료 인상이 없다면 내년에도 상황은 비슷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자동차보험이 올해 적자를 기록하더라도 내년 보험료 인상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자동차보험료가 민생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금융당국이 작지 않은 관심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손보사들이 작년에 이어 올해도 ‘역대급’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돼 상생금융에 대한 직간접적인 압박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비상계엄 사태와 대통령 탄핵소추 등 비상시국에 금융당국이 시장 안정에 대응하느라 상대적으로 상생금융에 대한 관심이 떨어질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실제로 최근 몇 년간 보험료 인하 결정이 해를 넘기지 않았던 것과 달리 올해는 논의가 지지부진하다. 그러나 이날 은행권이 3년간 2조1000억원 규모로 상생금융에 나서겠다고 발표하면서 보험업계도 상생금융에 대한 압박을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또 다른 보험업계 관계자는 “시장점유율이 낮은 보험사들은 규모의 경제가 불가능해 손실 구간에 더 빨리 진입했을 것”이라며 “보험료 인상도 인하도 쉽지 않은 상황에서 관련 논의가 동결로 마무리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