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이날 국적 항공사 11곳과 긴급안전대책 회의를 열었다.
회의에는 제주항공은 물론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 11곳 항공사의 최고경영자(CEO)가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이들 항공사가 자체적으로 수립한 안전강화 대책을 점검했다. 이번 사고 이후 국토부가 각 항공사에 내린 특별안전 강화 지시의 후속 조치다.
중수본은 각 항공사의 안전강화 대책과 이행 실태에 따라 특별 점검을 실시하도록 할 계획이다. 중수본은 사고 기종인 B737-800 총 101대를 운용하는 국내 항공사 6곳에 대한 점검 기간을 오는 10일까지 일주일 연장했다.
커넥터 분실로 국내에서 자료 추출이 어려워진 블랙박스 비행기록장치(FDR)는 다음 주 중 미국으로 이송된다.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는 다음 주 초 FDR을 미국에 보낼 계획이다.
조사관 2명이 동행해 미국 교통안전위원회(NTSB)와 함께 복원 작업을 진행 중으로 최소 3개월 이상 소요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