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한 출산장려금을 지원해 온 부영그룹이 2025년 시무식을 열고 올해 출산 직원 자녀에 대해 장려금을 지급했다.
이중근 부영그룹 회장은 5일 서울 중구에 위치한 부영태평빌딩에서 출산 직원 자녀 1인당 1억원씩 총 28억원을 출산장려금으로 지급했다. 지난해 2021년부터 2023년 출산한 직원에게 70억원을 지원한 것을 포함하면 지금까지 총 98억원을 출산장려금으로 지급했다.
이 회장은 "대한민국에 저출생 문제가 지속된다면 20년 후 경제생산인구 감소, 국가 안전 보장과 질서 유지를 위한 국방 인력 절대 부족 등 국가 존립 위기를 겪게 될 것으로 보고 해결책으로 출산장려금 지급을 결정했다"며 "우리가 마중물이 되어 국채보상운동과 금 모으기 캠페인처럼 앞으로도 많은 기업이 자발적으로 출산을 지원하는 나비효과로 번졌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부영 측은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아이가 연평균 23명 태어난 데 반해 올해는 5명 늘어 총 28명이 출산장려금을 지원받았다"며 "출산장려금 지급을 통한 경제적 부담 경감 효과로 사내 출산율이 증가하는 효과가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이 회장도 "정부와 국회에서도 기업이 지급하는 출산지원금에 전액 비과세라는 세법 개정으로 화답했고 그룹 내에서도 뜻깊은 성과가 있었다"며 출산장려금 제도를 통해 그룹 내에 퍼진 출산장려 문화의 긍정적인 동향이 지속돼 앞으로도 직원 출산율이 오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 회장은 6·25전쟁에 참전한 유엔군에 대한 감사 정신을 강조하며 ‘유엔데이 공휴일 지정’을 제안했다.
이 회장은 “6·25전쟁은 유엔군 60개국이 유엔 창설 후 최초이자 현재까지 유일하게 참전한 전쟁”이라며 “유엔데이를 공휴일로 재지정해 그 시대정신을 후세에 지속적으로 물려줘야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유엔데이는 국제연합(UN)이 창설·발족된 1945년 10월 24일을 기념하기 위해 제정된 기념일로 우리나라도 1950년부터 1975년까지 공휴일로 지정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