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자상자산 거래소, 동접 수용능력 최대 5배로…전산장애 없앤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신동근 기자
입력 2025-02-06 14: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서버증설' 업비트 동접자 90만명으로 확대

  • 금감원, 피해보상 기준·절차 등 적정성 점검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지난해 12월 3일 일어난 비상계엄 당시 전산장애로 논란을 빚은 가상자산 거래소들이 동시접속자 수용 능력을 최대 5배까지 늘리는 등 전산시스템 개선에 나섰다. 거래소들은 불가피한 사고가 발생할 경우 합리적인 보상을 제공하기 위해 내규도 마련했다.

6일 금융감독원은 가상자산사업자 최고경영자(CEO)‧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DAXA)와 현안 간담회를 개최해, 최근 발생한 가상자산사업자의 전산장애 원인과 관련 리스크요인 등을 점검하고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으로 혼란이 커지자 일부 가상자산 투자자들은 패닉에 빠져 매물을 시장에 쏟아냈다. 당시 가상자산 대장주 비트코인의 국내 가격은 1억3000만원대에서 순식간에 8000만원대까지 급락했다. 이 과정에서 급매를 내놓은 투자자들과 저가 매수에 나선 투자자들이 한꺼번에 몰리면서 거래소들의 전산이 수십분간 마비가 됐다.

이에 금감원은 전산장애 발생 사업자에 대한 현장점검을 지난해 12월, 올해 1월 두 차례 진행했다. 금감원 점검결과 거래소들의 서버용량 부족으로 문제가 발생했음을 알았다.
 
점검 이후 거래소들은 서버용량 확장에 총력을 기울였다. 계엄 당시 54만명이 몰렸던 업비트는 이날 기존 50만명에서 90만명으로 동시접속자 수용 능력을 키웠다고 밝혔다. 12월 3일, 23만6000명이 몰렸던 빗썸은 10만명에서 36만명으로 수용 능력을 확대했다. 당시 37만건 거래가 있었던 코인원은 수용 능력을 5배로 키워, 50만건의 거래까지 감당할 수 있도록 서버를 증설했다. 업계는 서버확충 등을 통해 사고 재발 방지에 만전을 기하고 있고, 시스템 안정성을 더욱 강화해 투자자들이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는 시장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전했다.

아울러 금감원은 전산장애 관련 피해보상의 기준·절차 등 적정성을 점검하고, 미흡한 사항은 즉시 보완하도록 거래소들을 지도했다. 지난 비상계엄 당시 전산장애 논란으로 업비트 운영사인 두나무는 보상신청 1135건 중 604건(31억6000만원), 빗썸은 보상신청 187건 중 54건(5억원)의 보상을 결정한 바 있다.

이종오 금감원 디지털·IT 부원장보는 “24시간 운영되는 가상자산시장의 특성을 감안, 기존 금융사 이상의 IT 안정성 확보를 당부했다”며 “금융위 등과 긴밀히 협조해 가상자산사업자의 전산시스템 안정성 확보의무 등 관련규제 도입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