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겸 전 국무총리가 더불어민주당 '비명(비이재명)계' 인사들을 향해 쓴소리를 한 유시민 전 노무현재단 이사장에게 "유시민 작가, 충고 고맙다"고 반응했다.
김 전 총리는 지난 6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유 전 이사장 영상을 보는 자신의 모습을 담은 '쇼츠(Shorts)' 영상에 "여러 가지 충고 고맙다"며 "스스로 여러 상황에 대해 짐작도 못 하고 그렇게 하진 않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전 총리는 "책을 많이 읽으라는 충고를 새겨듣고 이런 책들을 읽어보겠다"며 하버드대 정치학과 교수 스티븐 레비츠키와 대니얼 지블랫이 공동 저술한 '어떻게 민주주의는 무너지는가'라는 책을 펼쳐보였다. 이어 "잘 읽어보겠다"며 "제 자신도 정말로 열심히 살겠다는 약속을 했다"고 했다.
앞서 유 전 이사장은 지난 5일 한 유튜브 방송에 나와 당내 '이 대표 일극체제'를 비판하는 비명계 인사들에게 "망하는 길로 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유 전 이사장은 "지난 총선보다 정치적 대립이 더욱 극명해진 상황에서 '이재명 네가 부족해서 대선에서 진 거야' 식의 접근은 패착"이라고 강조했다.
또 유 전 이사장은 김 전 총리에게 "이미 자신의 역량을 넘어서는 자리에 올랐던 만큼 문재인 전 대통령이 자신을 알아보고 총리로 발탁해준 것에 대해 감사히 여기고 나라를 위해 일한 것을 기쁨으로 간직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어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지도자 행세 말고 착한 2등 전략'이 낫다"고 평했다.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을 향해서는 '정치가 잘 안 맞는 것 같으니 다른 직업을 모색하는 게 좋다'고 했다.
한편 김 전 총리는 이날 2박 3일 일정으로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찾아 "민주당의 전통적 힘은 다양성과 포용성"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전 총리는 "민주성이 보장될 때 힘과 국민의 신뢰가 가장 컸다"며 "우리 민주당의 폭을 넓히고 탄핵에 찬성한 여러 세력의 힘을 엮어 대한민국의 다음 에너지를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다만 김 전 총리는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둔 민심 다지기 행보'라는 평가에 "많은 국민이 내란 세력에 대한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우려하고 있다"며 "국민들이 헌법에 따라 정리될 것이라는 확신을 할 수 있을 때까지는 그런 말씀을 드리기 조심스럽다"고 말을 아꼈다.
김 전 총리는 지난 6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유 전 이사장 영상을 보는 자신의 모습을 담은 '쇼츠(Shorts)' 영상에 "여러 가지 충고 고맙다"며 "스스로 여러 상황에 대해 짐작도 못 하고 그렇게 하진 않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전 총리는 "책을 많이 읽으라는 충고를 새겨듣고 이런 책들을 읽어보겠다"며 하버드대 정치학과 교수 스티븐 레비츠키와 대니얼 지블랫이 공동 저술한 '어떻게 민주주의는 무너지는가'라는 책을 펼쳐보였다. 이어 "잘 읽어보겠다"며 "제 자신도 정말로 열심히 살겠다는 약속을 했다"고 했다.
앞서 유 전 이사장은 지난 5일 한 유튜브 방송에 나와 당내 '이 대표 일극체제'를 비판하는 비명계 인사들에게 "망하는 길로 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유 전 이사장은 "지난 총선보다 정치적 대립이 더욱 극명해진 상황에서 '이재명 네가 부족해서 대선에서 진 거야' 식의 접근은 패착"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김 전 총리는 이날 2박 3일 일정으로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찾아 "민주당의 전통적 힘은 다양성과 포용성"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전 총리는 "민주성이 보장될 때 힘과 국민의 신뢰가 가장 컸다"며 "우리 민주당의 폭을 넓히고 탄핵에 찬성한 여러 세력의 힘을 엮어 대한민국의 다음 에너지를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다만 김 전 총리는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둔 민심 다지기 행보'라는 평가에 "많은 국민이 내란 세력에 대한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우려하고 있다"며 "국민들이 헌법에 따라 정리될 것이라는 확신을 할 수 있을 때까지는 그런 말씀을 드리기 조심스럽다"고 말을 아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