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4월부터 90세까지 노후·유병력자 실손보험에 가입할 수 있다. 실손보험 보장연령도 100세에서 110세로 확대된다.
금융당국은 노령층 실손보험 가입 확대를 통해 고령화 시대 노년층 의료비 보장을 강화하겠다고 11일 밝혔다.
이에 따라 가입연령이 90세로 확대된 노후·유병력자 실손보험 상품이 4월부터 출시된다. 신상품은 보장연령도 110세로 늘어난다. 현재 유병력자 실손보험은 70세까지, 노후 실손보험은 75세까지만 가입할 수 있고, 100세까지만 보장한다.
이는 가입연령 제한이 노령층 실손보험 가입을 어렵게 하는 요인 중 하나라는 의견을 반영한 조치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현재 70대 실손보험 가입률은 38.1%, 80세 이상 실손보험 가입률은 4.4%다. 국내 실손보험 가입자 수가 약 4000만명에 달하는 것을 고려하면 매우 낮은 수준이다.
금융당국과 보험업계는 고령화 등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다각적인 보험상품 구조 개선을 추진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금융당국은 △사망보험금 유동화 △의료저축계좌 △보험계약대출 우대금리 항목 신설 △노후·유병력자 실손보험 △신탁업 활성화 등 ‘노후지원 보험 5종 세트’를 올해 업무계획에 포함시켰다.
이에 따라 종신보험의 사망보험금을 죽기 전에 유동화하거나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연금계좌에 있는 자금을 의료비로 손쉽게 사용하는 게 가능해질 전망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앞으로도 국민 노후 위험을 완화할 수 있는 다양한 보험상품을 발굴하겠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노령층 실손보험 가입 확대를 통해 고령화 시대 노년층 의료비 보장을 강화하겠다고 11일 밝혔다.
이에 따라 가입연령이 90세로 확대된 노후·유병력자 실손보험 상품이 4월부터 출시된다. 신상품은 보장연령도 110세로 늘어난다. 현재 유병력자 실손보험은 70세까지, 노후 실손보험은 75세까지만 가입할 수 있고, 100세까지만 보장한다.
이는 가입연령 제한이 노령층 실손보험 가입을 어렵게 하는 요인 중 하나라는 의견을 반영한 조치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현재 70대 실손보험 가입률은 38.1%, 80세 이상 실손보험 가입률은 4.4%다. 국내 실손보험 가입자 수가 약 4000만명에 달하는 것을 고려하면 매우 낮은 수준이다.
이에 따라 종신보험의 사망보험금을 죽기 전에 유동화하거나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연금계좌에 있는 자금을 의료비로 손쉽게 사용하는 게 가능해질 전망이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앞으로도 국민 노후 위험을 완화할 수 있는 다양한 보험상품을 발굴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