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2/13/20250213112747606000.jpg)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지난해 12월 시중에 풀린 돈이 40조원 넘게 늘면서 19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자산시장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파킹통장 등 수시입출식 예금으로 투자 대기성 자금을 찾는 사람들이 늘면서다.
1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12월 통화 및 유동성'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시중통화량은 M2(광의통화·평잔) 기준 4183조5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40조5000억원 늘었다. 지난해 6월 이후 19개월째 증가다.
M2는 현금과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등 좁은 의미의 통화(M1)에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수익증권,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2년 미만 금융채, 2년 미만 금전신탁 등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금융상품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통화 지표다.
상품별로 보면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18조6000억원) △기타통화성상품(5조7000억원) △2년 미만 금전신탁(8조7000억원) △수익증권(5조8000억원) 등이 증가했다.
한은 관계자는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은 재무비율 관리를 위한 기업자금 유입과 자산시장 변동성 확대 등에 따른 투자 대기성 자금이 늘면서 증가했다"며 "기타통화성상품 증가는 수출거래 대금 유입으로 외화예수금이 늘어난 영향"이라고 말했다.
반면 정기예적금은 4조6000억원 줄면서 11개월 만에 감소 전환됐다. 지방정부의 재정 집행을 위한 자금 인출과 지난해 4분기 중 정기예금 대규모 만기 도래에 대비한 은행들의 선조달 영향이다.
주체별로는 가계·비영리단체가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과 요구불예금을 중심으로 10조2000억원 늘었다. 기업은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과 요구불예금, 기타통화성상품을 위주로 31조5000억원 증가했다. 기타금융기관(3조9000억원)과 기타부문(5조4000억원)도 늘었다.
좁은 의미의 통화 지표인 M1(협의통화) 평잔은 1274조3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25조4000억원 늘었다.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등이 늘어난 영향이다.
금융기관유동성(Lf·평잔)은 5696조4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0.9%, 광의유동성(L·말잔)은 7106조원으로 전월보다 0.2% 증가했다.
1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12월 통화 및 유동성'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시중통화량은 M2(광의통화·평잔) 기준 4183조5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40조5000억원 늘었다. 지난해 6월 이후 19개월째 증가다.
M2는 현금과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등 좁은 의미의 통화(M1)에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수익증권,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2년 미만 금융채, 2년 미만 금전신탁 등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금융상품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통화 지표다.
상품별로 보면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18조6000억원) △기타통화성상품(5조7000억원) △2년 미만 금전신탁(8조7000억원) △수익증권(5조8000억원) 등이 증가했다.
반면 정기예적금은 4조6000억원 줄면서 11개월 만에 감소 전환됐다. 지방정부의 재정 집행을 위한 자금 인출과 지난해 4분기 중 정기예금 대규모 만기 도래에 대비한 은행들의 선조달 영향이다.
주체별로는 가계·비영리단체가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과 요구불예금을 중심으로 10조2000억원 늘었다. 기업은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과 요구불예금, 기타통화성상품을 위주로 31조5000억원 증가했다. 기타금융기관(3조9000억원)과 기타부문(5조4000억원)도 늘었다.
좁은 의미의 통화 지표인 M1(협의통화) 평잔은 1274조3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25조4000억원 늘었다.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 등이 늘어난 영향이다.
금융기관유동성(Lf·평잔)은 5696조4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0.9%, 광의유동성(L·말잔)은 7106조원으로 전월보다 0.2% 증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