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일 업계와 관계 부처 등에 따르면 공정위는 이날 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 본사에 조사관을 보내 현장조사를 하고 있다. 앞서 공정위는 지난주 신한은행과 우리은행 본사에 조사관을 보내 현장조사를 진행한 바 있다.
지난해 재심사 결정이 내려진 은행 LTV 담합 의혹에 대한 본격적인 재조사에 나선 것이다. 앞서 공정위는 지난해 말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시중은행의 LTV 담합 사건에 대한 재심사 명령을 내린 바 있다.
공정위는 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이 신한·우리은행과 7500개에 달하는 LTV 자료를 공유한 뒤 비슷한 수준으로 맞춰 부당 이득을 얻고 금융 소비자 이익을 침해했다고 보고 있다. LTV는 은행이 부동산을 담보로 돈을 빌려줄 때 대출 가능한 한도를 나타내는 비율이다. 이를 공유하면서 담보대출 거래 조건을 짬짜미해 시장 경쟁을 제한했다는 의미다.
반면 은행들은 단순 정보교환일 뿐 담합이 아니고 부당 이익도 없었다고 주장했다.
당초 이 사건은 지난해 말 제재 결과가 나올 예정이었지만 판사 역할을 하는 공정위 위원들이 사실관계 확인이 필요하다며 재심사 결정을 내린 바 있다.
공정위 심사관은 현장 조사에서 확보한 자료를 토대로 관계자 조사를 진행한 뒤 심사보고서를 다시 발송할 것으로 보인다. 공정위 관계자는 "현장 조사 이후에도 심사보고서, 상정 등 관련 일정이 남아 있는 상황"이라며 "결과가 나오기까지는 시간이 조금은 걸릴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번 재조사를 두고 일각에서는 업계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고 우려한다. 이에 대해 한기정 공정위원장은 "업계 부담이 늘어나지 않도록 조사나 심의 과정에서 세심하게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