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강남구 논현동 영풍빌딩 전경. [사진=영풍]
영풍의 주주인 영풍정밀이 18일 법원에 가처분을 신청했다. 영풍정밀은 오는 3월 열릴 영풍 정기주주총회에서 '집중투표제 도입' 등 주주제안 안건을 적법한 절차에 따라 상정해야 한다며 법원의 판단을 구했다.
영풍정밀은 지난 3일 영풍 측에 △집중투표제 도입 △현물배당 허용을 위한 정관 변경 △감사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분리 선임 등의 안건을 주주제안했다. 상법 제363조의2에 따르면 일정 요건을 충족한 주주는 주총 6주 전까지 회사에 주주제안을 할 수 있으며, 회사는 이를 안건으로 상정할 의무가 있다. 그러나 영풍은 주주제안 답변 시한인 11일까지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이에 영풍정밀은 정당한 주주제안권이 침해될 우려가 크다고 보고 '의안상정 가처분 신청서'를 법원에 제출했다.
영풍이 영풍정밀에 보낸 회신 공문에 따르면, 영풍은 주주제안 안건별 수용 여부를 밝히지 않은 채 "법령상 요건을 갖췄는지 검토 후 추후 회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영풍정밀은 이를 두고 사실상 시간 끌기라고 해석했다. 영풍정밀 관계자는 "영풍이 정기주총에서 주주제안을 임의로 배제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며 "적기에 조치하지 않으면 주주제안권이 무력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감사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분리 선임 안건 역시 논란이 예상된다. 영풍 감사위원 중 한 명이 영풍그룹 동일인인 장현진 고문과 같은 해 같은 대학을 졸업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학연에 따른 독립성 훼손 우려가 제기됐다. 이에 영풍정밀은 전문성을 갖춘 감사위원을 선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영풍정밀은 이번 주주제안이 상법과 영풍 정관에 모두 부합하는 만큼, 모든 안건이 정기주총에서 상정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영풍정밀 관계자는 "회사가 주주제안을 부당하게 거부할 경우 주주 권리 보호 자체가 어려워질 수 있다"며 "가처분 신청을 통해 주주제안권을 보장받고,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