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다음달 정기주주총회 시즌을 앞두고 보험업계도 사외이사 등 이사회 구성을 고심하고 있다. 주요 손해보험사 사외이사 3명 중 2명꼴로 임기가 만료되는 데다가 대부분의 여성 사외이사도 임기가 끝나기 때문이다.
19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주요 생명보험사(삼성생명·교보생명·한화생명)와 주요 손해보험사(삼성화재·DB손해보험·현대해상·KB손해보험·메리츠화재) 등 8사 사외이사 33명 중 22명의 임기가 내달 만료된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기존 사외이사를 재선임하거나 신규 사외이사를 선임해 올해 이사회를 구성해야 한다. 올해 임기가 끝나는 22명 중 3명은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최대 임기(6년)를 꽉 채워 교체가 불가피하다.
이처럼 이사회 개편이 불가피한 가운데 올해 보험사 이사진 구성의 핵심은 여성과 내부통제가 될 전망이다. 우선 최근 이사회 다양성이 강조되면서 여성 이사 비중이 커지고 있다. 주요 보험사 중 삼성화재만 여성 사외이사를 2명 선임했고, 나머지는 1명씩 두고 있다.
이들 9명 중 8명의 임기가 다음달까지다. 8명 중 1명은 재임 기간이 6년이라 교체가 불가피하다. 따라서 주요 보험사 여성 사외이사들은 재선임되거나, 새 사외이사가 선임되더라도 여성으로 채워질 전망이다. 특히 주요 보험사들의 사내이사가 모두 남성이므로 여성 사외이사 영업이 불가피하다.
지난해 시행된 금융사 지배구조법 개정안에 따라 이사회 내에 내부통제위원회를 둬야 하는 점도 이사회 구성에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KB손보는 이미 지난 3일 지배구조내부규정을 개정해 이사회에 내부통제위를 두기로 했고, 다른 보험사들도 내부통제위 설치를 검토·준비 중이다. 현대해상 등 자체적으로 내부통제위를 운영하던 기업들도 관련 조직을 이사회 안으로 재편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보험업계 안팎에서는 내부통제위가 새로 설치되는 만큼 보험사들이 내부통제위원장으로 적합한 인물을 사외이사로 추천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새로운 위원회가 설치되는 게 무조건적으로 이사진 변화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보험사별로 현재 이사회에 내부통제 전문가가 없다고 판단되면 새로운 사외이사 영입을 고려할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19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주요 생명보험사(삼성생명·교보생명·한화생명)와 주요 손해보험사(삼성화재·DB손해보험·현대해상·KB손해보험·메리츠화재) 등 8사 사외이사 33명 중 22명의 임기가 내달 만료된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기존 사외이사를 재선임하거나 신규 사외이사를 선임해 올해 이사회를 구성해야 한다. 올해 임기가 끝나는 22명 중 3명은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최대 임기(6년)를 꽉 채워 교체가 불가피하다.
이처럼 이사회 개편이 불가피한 가운데 올해 보험사 이사진 구성의 핵심은 여성과 내부통제가 될 전망이다. 우선 최근 이사회 다양성이 강조되면서 여성 이사 비중이 커지고 있다. 주요 보험사 중 삼성화재만 여성 사외이사를 2명 선임했고, 나머지는 1명씩 두고 있다.
지난해 시행된 금융사 지배구조법 개정안에 따라 이사회 내에 내부통제위원회를 둬야 하는 점도 이사회 구성에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KB손보는 이미 지난 3일 지배구조내부규정을 개정해 이사회에 내부통제위를 두기로 했고, 다른 보험사들도 내부통제위 설치를 검토·준비 중이다. 현대해상 등 자체적으로 내부통제위를 운영하던 기업들도 관련 조직을 이사회 안으로 재편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보험업계 안팎에서는 내부통제위가 새로 설치되는 만큼 보험사들이 내부통제위원장으로 적합한 인물을 사외이사로 추천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새로운 위원회가 설치되는 게 무조건적으로 이사진 변화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보험사별로 현재 이사회에 내부통제 전문가가 없다고 판단되면 새로운 사외이사 영입을 고려할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