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아주경제 DB](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2/18/20250218212306700800.png)
[멈추는 계량기] 공장 가동 저조에 트럼프까지 '설상가상'...韓제조업 '비상'
산업용 전력 사용량이 2년 연속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물 경기의 선행 지표가 되는 전력 사용량의 감소는 제조업 경기와 기업활동의 위축을 의미한다. 특히 소상공인들의 경기 지표로 활용되는 서비스업 전력 사용량도 계속해 감소하고 있다.
올해도 12·3 비상계엄 여파와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 고물가·고환율 등으로 인해 우리 경제의 하방 압력은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
18일 한국전력공사의 전력통계월보에 따르면 지난해 산업용 전력 사용량은 28만6212GWh(기가와트시)로 1년 전보다 1.5% 줄었다.
연간 산업용 전력 사용량은 지난 2023년부터 감소세로 전환했다. 2023년 산업용 전력 사용량 역시 전년 동기 대비 1.9% 줄어든 29만555GWh로 집계됐다.
본격적인 경기 둔화 때문이라는 게 한전의 설명이다. 한전 관계자는 "재작년부터 경기가 둔화되면서 산업용 전력 사용량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제조업에 투입된 전력 사용량이 줄어들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해 산업용 전력 중 제조업에 투입된 전력 규모는 25만6532GWh로 전년 동기 대비 1.8% 감소했다. 2023년 역시 2.1% 줄었다.
월간 제조업 전력 판매량을 봐도 감소세가 두드러진다. 월별 제조업 전력 사용량은 지난 3월(0.2%)과 8월(0%), 10월(2.7%)을 제외하고 전년 동월 대비 줄곧 줄어들었다. 특히 지난해 11월 감소폭은 4.7%로 2023년 7월(-4.5%) 이후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다.
"구글·딥시크 능가하는 AI 끝판왕"…일론 머스크, 그록3 공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새 인공지능(AI) 모델 '그록(Grok)3'를 공개했다. 그는 그록3가 오픈AI, 구글, 딥시크를 능가한다고 주장했다. 또 오픈AI를 겨냥해 딥서치 기능도 탑재해 추론 과정에서 '왜곡' 위험성도 방지한다고 설명했다.
18일 xAI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X에서 라이브 시연을 통해 새 AI 모델인 그록3 베타버전을 공개했다.
xAI에 따르면 그록3 모델은 베타 버전과 미니 버전 등 두 가지로 나뉜다. 데이터는 여전히 학습 중이다. 일론 머스크 CEO는 "완성도 높은 버전은 일주일 정도 기다려야 한다"며 "매일 꾸준히 개선 작업 중"이라고 말했다.
딥서치는 그록3에 탑재된다. 전문 지식으로 수백 개 출처와 보고서를 만들어주는 기능을 갖췄다. 공식 모델을 비롯한 API(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 딥서치는 수주 내에 출시할 계획이다.
그록3는 콜로서스(Colossus) 슈퍼컴퓨터로 개발됐다. 엔비디아의 H100 그래픽처리장치(GPU) 10만개를 활용했다. 머스크 CEO는 "122일 만에 엔비디아 H100을10만개 가동하는 데 성공했다"며 "AI를 발전시키기 위해 데이터센터 용량을 늘릴 필요가 있었다"고 말했다.
xAI는 그록3 발전을 위해 H100, H200은 물론 향후 출시될 B200 칩도 추가할 계획이다. xAI 연구진은 "우리는 이미 다음 클러스터 작업을 시작했다"며 "이는 기존보다 5배 더 강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막바지로 향하는 尹 탄핵심판, 내달 중순 선고 유력할 듯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심판 선고가 3월 중순께 내려질 가능성이 커졌다. 헌법재판소가 20일 예정된 윤 대통령 탄핵심판의 10차 변론을 한 시간만 늦춰 그대로 진행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이로써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과 오후 각각 형사재판과 탄핵재판을 받게 됐다.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은 18일 탄핵 심판에서 10차 변론기일을 20일 오후 3시로 지정했다.그는 "재판부가 주 4일 재판을 하고 있고 증인 조지호에 대해 구인영장 집행을 촉탁했다는 점, 10차 변론은 피청구인이 신청한 증인 3명을 신문하는 점을 종합해 결정한 것"이라고 밝혔다.
헌재는 10차 변론기일에 출석하는 한덕수 국무총리,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 조지호 경찰청장 외에 추가 증인을 지정하지 않았다. 이대로 증인신문이 종결되면 양측의 최후 변론을 듣는 것이 마지막 절차가 된다.
헌재의 재판 진행속도 등을 고려하면 다음 주인 25일 또는 27일이 최종 변론기일이 될 가능성이 높다. 그렇게 되면 헌재가 3월 중순 쯤 윤 대통령 탄핵 심판에 대한 선고를 내릴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이날 9차 변론에서는 2시간 동안 지난 1~8차 변론에서 제출된 증거기록과 탄핵소추 사유에 관한 중간 정리 차원의 마무리 발언을 진행했다. 국회 측은 국민을 배신한 행위라고 강하게 비판하는 반면, 윤 대통령 측은 국민 호소용 계엄이었다며 대립각을 세웠다.
[상호관세 골든타임] 무역금융 1% 늘리고 '역대 최대'?…하반기 대응은 어쩌나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전쟁이 가시화되면서 수출 하방 압력이 심화되는 가운데 정부가 수출 기업 지원을 위한 대책을 마련했다. 관세 피해 긴급 대응에 나서고 무역금융을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다만 기존에 발표됐던 정책을 보완하고 지원을 '찔끔' 늘리는 등 간판만 새로 단 채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 상반기 재원 투입에 집중하고 하반기 위험은 도외시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정부는 18일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제6차 수출전략회의를 열고 '범부처 비상수출 대책'을 발표했다. 미국 신정부 출범, 고금리·환변동 지속, 첨단산업 경쟁과열·글로벌 공급과잉 등 3각 파고로 올해 수출 불확실성이 높아진 것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이다.
이날 회의에서 정부는 관세 대응 패키지, 무역금융 패키지, 대체시장 진출 패키지, 수출기업 핵심 애로 해소 등을 해결 방안으로 제시했다. 최상목 권한대행은 회의에서 "관세 피해 지원에 가용 가능한 수단을 총동원하겠다"며 "이달 내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와 지방중소벤처기업청에 전담 창구를 마련해 관세·수출 규제 등 해외 정책 변화를 실시간 공유하고 무역금융은 역대 최대인 366조원 수준을 공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대부분 대책이 변죽만 울린 채 과거와 비슷한 수준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일례로 정부가 강조한 '역대 최대 무역금융'은 기재부 원스톱 수출·수주지원단이 지난달 20일 수출금융 협의체(Fin-eX) 간담회에서 발표한 수출금융 공급 목표인 360조원에서 단 1.7%(6조원) 늘어난 규모다. 중소·중견 무역보험은 과거 밝혔던 공급 목표 100조원 수준과 동일하다.
냉탕·온탕 오간 반도체…'세제' 숙원 풀었지만 '재정 지원' 난항
반도체 산업에 대한 세제 지원 내용을 담은 'K칩스법'이 국회 상임위를 통과했다. 하지만 재정 지원을 골자로 한 '반도체 특별법'은 '주 52시간 근로제' 예외 규정 도입 여부를 두고 여야 이견으로 소위 통과마저 불발됐다. 주요국의 반도체 기술 패권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재정 지원이 지연될 경우 '골든타임'을 놓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국회 기획재정위는 18일 전체회의를 열고 반도체 기업의 통합투자세액공제율을 현행보다 5%포인트 높이는 내용을 골자로 한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을 심의·의결했다. 사실상 국회 본회의 통과를 위한 8부 능선을 넘은 것으로, 시행시 올 1월부터 반도체 기업의 시설 투자에 대해 상향된 세액공제율이 적용된다.
이날 기재위는 반도체를 비롯해 미래 신산업에 대한 세제 지원 내용을 담은 다수의 개정법안을 의결했다.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국가전략기술에 인공지능과 미래형 운송수단이 추가 됐다. 지난달 말 중국의 AI '딥시크'(deepseek) 쇼크 이후 국내 AI 기술을 국가전략산업으로 육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세제 혜택을 부여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국가전략기술로 지정된 산업은 △반도체 △이차전지 △백신 △디스플레이 △수소 △미래형 이동 수단 △바이오의약품 등 7개다.
반면 정부가 반도체 기업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내용이 핵심인 반도체 특별법은 국회 소위를 통과하지 못했다. 하루 전 국회 산업통상자원특허소위원회는 반도체 특별법에 '주 52시간 근로제' 예외 규정을 포함할지 여부를 두고 논의했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추후 소위에서 논의를 이어나가기로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