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CMP는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미 국무부로부터 중국 주재 직원 규모 축소 지시가 내려왔으며 최대 10%를 줄일 예정으로 이르면 오는 21일부터 감원 통보가 이뤄질 수 있다고 밝혔다.
소식통들은 이번 감원이 전례 없는 규모로, 베이징 주재 대사관과 광저우·상하이·선양·우한·홍콩 영사관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감축 대상이 된 인원들이 다른 외교 관련 업무로 재배치될지는 확실하지 않으며 해고가 예상된다고 부연했다.
다른 소식통은 감원 대상 직원들이 이번 주말까지 퇴직금 및 근무 종료일 등에 대한 세부 사항을 전달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소식통들은 중국 주재 공관 감원 조치가 백악관이 전 세계에 파견된 외교 인력을 정비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재외공관의 경우 미국인과 현지 직원 모두 약 10% 줄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조치는 트럼프 행정부가 국제개발처(USAID) 등 정부 기관을 폐지하거나 축소하는 과정에서 미국의 외교정책이 '미국 우선주의' 의제에 부합하도록 개편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그동안 트럼프 대통령은 의제에 충실하지 않은 공무원들을 해고하겠다고 강조해왔다.
국무부는 내부 인사 문제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다면서도 "(트럼프 대통령의) 인력 최적화 의제를 전적으로 준수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무부는 미국민을 대표해 현대 도전과제를 해결할 최선의 위치에 있는지 확인하고자 우리의 글로벌 배치를 계속 평가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미국은 중국에 대규모 외교 인력을 보유하고 있다. 베이징 주재 대사관의 경우 10에이커(4만468㎡) 규모의 토지에 2016년 완공된 새 별관을 포함해 6개의 건물로 구성돼 있다.
주중 미국 대사관 및 영사관 웹사이트에 따르면 베이징 대사관 단지에는 약 50개의 미국 연방 기관을 대표하는 1300명 이상의 미국인 및 현지 고용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