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 일본 현지 언론들은 조간신문 사설 등을 통해 이시바 총리가 경솔한 행동을 했고 해명도 설득력이 없다고 일제히 비난했다.
당초 스캔들이 불거지자 이시바 총리는 법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거듭 항변했으나, 청빈한 삶을 살았다고 알려진 이시바 총리의 도덕성에 흠집이 갔고 비판 여론은 갈수록 커지는 모양새다.
요미우리신문은 '경솔함에 대한 비난을 면할 수 없다'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정치자금 개혁을 둘러싸고 여·야당이 막바지 논의 중인 시기에 총리 자신이 의심을 살 만한 행동을 했다는 것에 놀라움을 금할 수 없다"고 꼬집었다.
아사히신문도 '어이없는 총리의 변명'이라는 제목의 사설을 통해 "법적인 평가와 관계없이 정치가로서 총리에 대한 평가를 크게 나쁘게 한 것은 틀림없다"며 "총리는 당내 기반이 약해 여론 지지에 의지해야 하는데, 반성이 (민심에) 닿지 않으면 정권 유지가 어려울 것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이시바 총리를 직격했다.
산케이신문은 한발 더 나아가 "이것으로 아웃 아닌가"라고 사퇴를 우회적으로 촉구했고, 도쿄신문은 "이시바 총리의 청빈한 이미지가 실상과는 다르다는 점이 드러나고 있다"고 비판 대열에 가세했다.
도쿄신문은 "이시바 총리가 금품 살포로 인맥을 구축했던 다나카 가쿠에이 전 총리를 정치적 스승으로 삼고 있고, 구두쇠라는 세간의 평가를 타파하려
는 속마음이 있었던 것이 상품권 스캔들의 배경일 수 있다"는 전문가 견해를 소개하기도 했다
정치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를 두고 "초선 의원과 회식이 정치활동이 아니었기 때문에 정치자금규정법에 저촉되지 않는다"는 이시바 총리의 해명을 두고 '그레이존'(애매한 부분)이 많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이시바 총리와의 주장과는 다르게 회식 장소가 총리 공저(公邸·공관)였다는 점 등에서 정치활동으로 볼 여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일본 정치자금규정법은 개인이 정치활동과 관련해 공직 후보자에게 금전 등을 기부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야당은 내각 불신임안 제출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요미우리 신문은 "야당들이 내각 불신임안을 제출해 찬성하는 쪽으로 보조를 맞추면 중의원(하원) 과반 표를 확보해 가결하는 것이 가능하다"며 가결될 경우 이시바 총리가 10일 이내에 중의원을 해산하거나 내각이 총사퇴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