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프트뱅크가 미국 전역에 인공지능(AI) 로봇을 활용한 산업단지를 조성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닛케이신문은 29일, 손정의 회장이 조만간 미국을 방문해 '인더스트리얼 파크 구상'을 공개하고 1조 달러, 약 1470조원 규모의 투자를 제안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이번 구상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다시 관세 인상을 시사하는 상황에서 일본이 미국 제조업에 기여한다는 인식을 강화하려는 의도도 담긴 것으로 해석된다.
소프트뱅크가 추진하는 산업단지에는 수요 예측부터 생산 설계까지 인공지능이 주도하는 무인 공장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생산 과정 전반에서 인간의 개입을 줄이고 스마트폰, 자동차, 에어컨 등 다양한 제품 제조에 AI를 적용하는 방식이 논의되고 있다.
독일 로봇 기업에 투자한 비전펀드의 기술을 활용하고, 자율주행이 가능한 인간형 로봇을 투입하는 방안도 함께 검토 중이다. 또 챗GPT를 개발한 오픈AI와 협력 관계를 유지하면서 대만의 폭스콘을 산업단지 파트너로 끌어들이는 방안도 논의되고 있다. 과거 소프트뱅크는 인간형 로봇 ‘페퍼’의 생산을 폭스콘에 맡긴 바 있다.
앞서 소프트뱅크는 지난 1월 오픈AI, 오라클과 함께 미국 내 데이터센터를 설립하기 위해 '스타게이트'라는 합작회사를 세우고 향후 4년간 최대 735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닛케이는 관세 인상을 계기로 해외 제조업체들이 미국 투자를 확대할 것으로 보이며, 소프트뱅크는 AI를 통한 생산성 향상으로 이러한 흐름에 대응하려 한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