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40개 의과대학 교수들이 참여하는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가 1일 제15대 회장단을 구성하고 공식 출범했다.
회장은 조윤정 고려대 의대 교수가 맡게 됐다. 부회장은 고범석 울산대 의대 교수, 김정일 동아대 의대 교수, 김종일 서울대 의대 교수, 이도상 가톨릭대 의대 교수, 정연준 전북대 의대 교수, 최중국 충북대 의대 교수다. 감사는 이호석 교수(부산대 의대, 부산대병원), 장미영 교수(충남대 의대, 충남대병원) 등이다. 임기는 4월부터 2027년 3월까지다.
제15대 회장단은 의사의 소명인 '국민 건강 증진과 생명 수호'에 기여한 활동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이번 회기를 맞아 협의회는 약칭은 '전의교협'에서 '의대교수협'으로 변경된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는 40개 의대 중 38개 의대 교수협의회와 2개 대학 비상대책위원회로 구성돼 있다.
의대교수협은 이번 출범을 계기로 '의대교수는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수호하는 주요한 주체 중 하나'라는 사명과 '양질의 교육과 수련을 통해 우수한 의료인을 양성한다'는 비전을 재인식했다.
의대교수협은 △양질의 학생 교육과 전공의 수련 환경 조성 △대한민국 국민과 적극 소통 △40개 의과대학 교수들 간 소통 강화 △의료계 다양한 단체와 협력 강화 등을 4대 목표로 내걸었다.
의대교수협은 "학생교육에 최적의 교육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며 "전공의의 과도한 노동환경 개선을 통해 교육 중심 수련체계를 확립하겠다"고 말했다.
의·정 사태로 국민들과 소통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알게 된 만큼 환자에게 필요한 것은 '많은 의사'보다 '잘 교육받은 의사'라는 가치를 공유해나갈 예정이다.
또 40개 의과대학 교수들 간 소통도 강화하고, 대한의사협회를 비롯한 보건의료 단체들과 협업 체계도 구축할 계획이다.
조윤정 회장은 "환자에게 필요한 것은 '많은 의사' 보다 '잘 교육받은 의사'라는 가치를 인식시키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의대 교육 현장 목소리를 국가 정책에 적극 반영해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수호할 의료 분야 인재 양성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회장은 조윤정 고려대 의대 교수가 맡게 됐다. 부회장은 고범석 울산대 의대 교수, 김정일 동아대 의대 교수, 김종일 서울대 의대 교수, 이도상 가톨릭대 의대 교수, 정연준 전북대 의대 교수, 최중국 충북대 의대 교수다. 감사는 이호석 교수(부산대 의대, 부산대병원), 장미영 교수(충남대 의대, 충남대병원) 등이다. 임기는 4월부터 2027년 3월까지다.
제15대 회장단은 의사의 소명인 '국민 건강 증진과 생명 수호'에 기여한 활동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이번 회기를 맞아 협의회는 약칭은 '전의교협'에서 '의대교수협'으로 변경된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는 40개 의대 중 38개 의대 교수협의회와 2개 대학 비상대책위원회로 구성돼 있다.
의대교수협은 △양질의 학생 교육과 전공의 수련 환경 조성 △대한민국 국민과 적극 소통 △40개 의과대학 교수들 간 소통 강화 △의료계 다양한 단체와 협력 강화 등을 4대 목표로 내걸었다.
의대교수협은 "학생교육에 최적의 교육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며 "전공의의 과도한 노동환경 개선을 통해 교육 중심 수련체계를 확립하겠다"고 말했다.
의·정 사태로 국민들과 소통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알게 된 만큼 환자에게 필요한 것은 '많은 의사'보다 '잘 교육받은 의사'라는 가치를 공유해나갈 예정이다.
또 40개 의과대학 교수들 간 소통도 강화하고, 대한의사협회를 비롯한 보건의료 단체들과 협업 체계도 구축할 계획이다.
조윤정 회장은 "환자에게 필요한 것은 '많은 의사' 보다 '잘 교육받은 의사'라는 가치를 인식시키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의대 교육 현장 목소리를 국가 정책에 적극 반영해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수호할 의료 분야 인재 양성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